모퉁이돌선교회, 14일 백주년기념관서 선교연구원 세미나 개최
“해방후 공산주의자 박헌영은 기독교 제거하는 것을 과제로 생각”
“조선인민공화국 건립후 기독교연맹 가입자들 불순세력으로 낙인”

“북한, 순교의 피 계속 흐르고 있지만, 지하교회는 도리어 선교해”
“발각된 성도들의 수가 늘어나...지하교회가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
“세계 여러나라 교회·선교기관들을 북한선교의 장으로 불러 모아”

14일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에서 ‘순교하는 교회, 선교하는 교회’란 주제로 열린 모퉁이돌 선교회 선교연구원 세미나 모습. /모퉁이돌 선교회
14일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에서 ‘순교하는 교회, 선교하는 교회’란 주제로 열린 모퉁이돌 선교회 선교연구원 세미나 모습. /모퉁이돌 선교회

“북한의 지하교회가 순교하는 교회임을 알고 있으나, 동시에 선교하는 교회라고 하는 면을 소개하려 합니다. 특히 6.25전쟁 전부터 지금까지 북한 정권에 의한 박해와 순교의 역사는 우리의 상상을 뛰어 넘으며, 그 순교를 통해 우리의 신앙을 점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극심한 박해 가운데에도 성장하고 있는 북한교회는 ‘부르심(pulling)’이라는 특별한 선교를 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복음이 제한된 지역의 선교 전략을 마련해 볼 수 있는 귀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14일 서울 종로구 소재 한국교회백주년기념관에서 ‘순교하는 교회, 선교하는 교회’란 주제로 열린 선교연구원 세미나에서 주최측 모퉁이돌선교회 대표 이삭 목사는 이날 세미나의 취지를 이같이 전했다.

세미나 첫 발제를 맡은 박명수 교수(서울신대 명예교수)는 ‘6.25전쟁 전후 북한 정권에 의한 순교 역사’를 주제로 해방 전부터 있었던 공산주의와 기독교의 대립부터 한국전쟁 이후 기독교 박해의 역사적 배경과 피해 사례 등을 분석해 발표했다. 

박 교수는 “해방 이후 공산주의자 박헌영은 마르크스-레닌의 이론을 따라 기독교를 반동세력으로 제거하는 것을 공산혁명의 중요한 과제로 생각했다”며 “한국 기독교는 1920년대 중반에 등장하기 시작한 공산주의를 경계하고 비성경적·비도덕적 면을 설명했다. 기독교와 공산주의의 갈등은 이론적 논쟁에서 끝나지 않았고, 공산주의자들은 현실적으로 기독교를 공격했다. 특히 만주나 연해주에서 과격하게 나타났다. 감리교의 김영학은 공산 세력에 의해 강제 노역을 당하다 세상을 떠났다”고 밝혔다.

이어 “해방 직후 타협을 통해 공산주의를 건설하려던 박헌영은 비밀리에 월북한 후 소련군 시티코프에게서 강력한 투쟁을 전개하라는 지시를 받고, 스탈린에게 보고된 ‘비합법적 투쟁’이라는 신전술을 꺼냈다”며 “10월 대구 추수봉기, 서울대 국대안반대투쟁, 제주 3.1사건 등이 그의 신전술에 의존한 것이다. 이러한 무력투쟁, 좌파의 폭력행위는 우익에게 커다란 경계심을 갖게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소련은 종교를 아편으로 간주하고 박해했지만, 전술적 차원에서 박해를 완화했다. 이는 북한에 그대로 반영됐다”며 “북한의 기독교인들도 초기에는 공존을 생각했지만, 곧바로 그 저의를 알기 시작했다. 신의주 학생 의거 과정에 많은 교회 지도자와 학생들이 월남했고, 대대적 토지개혁 이후엔 일반 신자들도 다수 월남했다”고 전했다.

또한 “소련과 김일성은 항상 ‘종교의 자유’를 보장한다고 선전했지만, 공산주의에 충성하지 않는 기독교는 존재하기 어려웠다”며 “북한은 기독교면려회를 해산하고 장로교 오도연합회 및 감리교 남부연회 지도부를 체포했으며, 기독자유당을 창당하려던 이들 수십 명 또한 체포했다. 그뿐 아니라 노회와 연회를 통제하기 시작했다. 북한 인민위원회는 종교교육을 제한하고 주일학교교육을 근절시키고자 했다. 또 기독교인을 반동계급으로 분류해 상급학교에 진학할 수 없게 교육적 불이익을 행사했다”고 했다.

더불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립 후에는 기독교를 재편하고자 조선기독교도연맹을 가입하지 않는 목사는 설교를 금지했고, 신학교의 교사를 몰수하고 강제 합병하는 등 자신들의 통제 아래에 두고자 했다. 후에는 기독교연맹에 가입한 사람들도 불순세력으로 낙인 찍고 검속, 검거했다”고 했다.

박 교수는 “전쟁 3일 만에 서울을 함락한 북한은 북조선기독교도연맹 부위원장인 조희렴 목사가 원산중앙교회에서 서울함락경축예배를 드렸음에도 그를 검거하고 살해, 이 지역의 교역자와 교인을 검거했다. 또 권의봉 목사와 천주교 신부도 함께 살해했다”며 “주일예배 외의 행사는 금지된 상황이었고 주일학교도 불가했다. 또 예비검속으로 많은 목사가 이미 검거된 상황으로 예배를 인도할 인도자가 없었다. 많은 교회가 임시 해산, 해체를 결의했다”고 했다.

이어 “서울 함락 후 월남한 이북 출신 목사들은 피난을 떠났고, 이남 출신 목사들은 서울에 남았고, 그 시련은 매우 심각했다. 북한은 기독교민주연맹을 통해 인민군 환영대회를 열고 연맹에 가입해야 신분의 안전이 보장된다고 강조했다. 이 연맹은 교역자대회를 열어 공산주의를 재교육하고 민주적 기독교를 만들려고 했다”고 했다. 

두 번째로 이반석 목사(모퉁이돌선교회 총무)가 ‘순교하는 교회, 선교하는 교회’를 주제로 발제했다. 이 목사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선교가 지속되고 있는 곳이 있다. 바로 북한”이라며 “북한은 극심한 박해가 이어지고 순교의 피가 계속 흐르고 있지만, 북한 지하교회는 도리어 선교하는 교회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이어 “한반도의 지하교회는 김일성의 공산정권 아래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일제 시대 신사참배를 반대하는 교회가 가정에서 예배함으로 초대 지하교회 형태를 갖추며 북한의 지하교회가 태동하게 되는 뿌리가 되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의 지하교회는 은밀하게 지속되는 가운데 많은 순교자들이 나오게 되었으나, 그러한 상황에서도 성장하여 왔다”며 “1945년부터 2006년까지 책과 문서에 정리된 순교한 성도 수만 16,984명이다. 1953~1972년 10,897명 이후, 1972~1988년에 299명, 1988~1995년 741명, 1995~2006년 3,720명의 순교자가 나왔다. 특히 조직체(교회)에서 발각된 성도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이 수치는 지하교회가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했다.

특히 “순교자 16,984명 중 1945년 이후에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수가 5,723명에 달했다”며 “이들 중 부모의 영향으로 기독교인이 된 수는 3,398명, 개인이 전도해 기독교인이 된 수는 1,789명, 탈북 상황에 기독교인이 된 수는 340명, 라디오와 성경책을 통해 기독교인이 된 수는 86명, 외부인과 선교사로 인해 기독교인이 된 수는 3명, 외국에 나간 중에 기독교인이 된 수는 19명, 성령의 임재로 기독교인이 된 수는 7명, 그 외의 통로로 기독교인이 된 수는 81명이었다”고 전했다.

이 목사는 “예배 등 종교활동과 성경 등 종교 물품 간직 등 핍박 사례를 분석해 보면, 복음 전파가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며 “북한종교자유백서에 따르면, 탈북자 중 1.2%에 해당하는 168명의 응답자가 북한에서 종교활동에 몰래 참가한 적 있다고 했다. 특히 168명의 응답자 중 159명은 2001년 이후 탈북자들이었다. 또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비밀 종교활동 경험자 비율이 증가했다”고 했다.

그는 “2020년 7월 기준 북한 종교 박해 사건은 1,411건이며, 그 중 종교 활동에 의한 경우가 5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종교 물품 소지 23.5%, 종교 전파 10.3%, 종교인 접촉 4.5% 순으로 나타났다”며 “또 2000년 이전 탈북자 중 성경을 본 경험자는 16명에 불과하였지만, 2000년 이후엔 559명에 달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북한에 성도들이 늘어가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고 했다.

끝으로 “한 지하교회는 박해와 순교 가운데 부르심의 선교를 하고 있고, 이러한 모습은 세계 여러 나라 여러 교회와 선교기관들을 북한 선교의 장으로 불러 모으고 있다”며 “유럽 대륙을 복음화하기 원하셨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마음은 북한 땅을 복음화하기 원하시는 현재의 마음과 동일하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