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후춘화 시대 시작" 전망...WSJ·SCMP는 "리창이 선두주자"

훈춘화와 리창. /중국 바이두
훈춘화와 리창. /중국 바이두

중국의 리커창 총리(67) 자리를 누가 이을지 중국 국내외의 큰 관심사다. 물러날 필요 없는 연령이지만, 본인이 퇴진 의사를 밝혔다. 리창 상하이시 당 서기, 리시 광둥성 당 서기, 딩쉐샹 당 중앙판공청 주임, 천민얼 충칭시 당서기, 왕양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전국정협) 주석, 후춘화 부총리(59)가 물망에 오랐으나, 아직 아무도 확실한 우위는 없어 보인다.

시진핑 국가주석의 ‘1인 체제’ 구축은 마오쩌둥 절대권력의 부작용에 대한 반성의 결과인 ‘집단지도체제’를 무너뜨렸다. 장쩌민·후진타오 전 주석 등의 견제가 만만치 않은 가운데, 19일 "후춘화 (총리)시대의 시작"을 점치는 블룸버그 보도가 있었다. 3연임 확정을 맞아 시 주석이 견제세력을 진정시킬 전략 차원에서 후 부총리를 총리로 발탁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리창·리시·딩쉐샹·천민얼 등은 시 주석의 최측근, 후 부총리와 왕 전국정협 주석은 후진타오의 핵심 인물들이다. 정치 컨설팅업체 유라시아그룹의 중국 분석가 닐 토머스는 "후춘화가 총리 자리에 오른다면 시 권위에 도전하지 않을 약한 2인자를 원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최고지도자그룹 7인의 상무위원회에서 시 주석 세력이 4인 이상일 때 사실상 후춘화가 총리로서 목소리를 내긴 힘들다.

시 주석이 그동안 류허 부총리에게 힘을 실어줘 리커창 총리 역할을 크게 제한했다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덩샤오핑 때 수립된 ‘격대지정’(隔代指定, 차기 지도자를 미리 정하는 승계 방식), 즉 개혁개방 이래 권력의 분산 및 예측가능성을 높여 온 관행을 시 주석은 파기했다. 2007년 부총리로 권력서열 6위의 상무위원에 진입한 리커창과 함께 5위의 국가부주석에 오른 뒤 5년 후 국가주석이 됐으나, 시진핑 본인은 격대지정을 지키지 않았다. 장기집권을 염두에 둔 시도로 보인다.

혁명 원로의 아들 시 주석과 달리, 후 부총리는 후베이성 중부의 빈농 출신이다. 16살 때 베이징대학에 입학, 졸업 후 공직에 입문한 그는 척박한 시짱(티베트) 자치구 근무를 자원했고, 1988년~1992년 그곳 당서기 후진타오 눈에 띄어 중앙 무대로 발탁됐다.

반면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리창·리시·딩쉐샹을 꼽으며 리창을 선두주자로 전한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역시 비슷한 관점이다. 리 서기는 시 주석이 2002∼2007년 저장성 성장에 이어 당 서기 시절 비서실장 격인 당위원회 판공청 주임을 맡았다. 2017년 상무위원 진출 1순위로 통하는 상하이 당 서기가 됐으나, 도시봉쇄 등 제로코로나 정책에 따른 부작용의 책임론도 높다. 시 주석으로선 부담스러울 수 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