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전세자금·신용대출 등 종류에 상관없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최고 금리가 모두 7%를 넘어섰다. 사진은 서울시내 은행에 붙어 있는 대출 관련 홍보물. /연합
주택담보·전세자금·신용대출 등 종류에 상관없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최고 금리가 모두 7%를 넘어섰다. 사진은 서울시내 은행에 붙어 있는 대출 관련 홍보물. /연합

주택담보·전세자금·신용대출 등 종류에 상관없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최고 금리가 모두 7%를 넘어섰다. 약 13년 만에 본격적으로 7%대 금리시대가 시작된 것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지난 28일 기준 연 4.970∼7.499% 수준이다. 한 달 전인 9월 30일의 4.510∼6.813%와 비교해 상단이 0.460%포인트, 하단이 0.686%포인트 높아졌다.

변동금리의 지표인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COFIX)가 지난 17일 2.960%에서 3.400%로 0.440%포인트 뛰었기 때문이다. 이는 2012년 7월의 3.400%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연 4.730∼7.141%에서 연 5.360∼7.431%로 올랐다. 변동금리와 마찬가지로 상단이 7%를 넘었을 뿐 아니라 특히 하단이 0.630%포인트 급등했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 금리의 지표로 사용되는 은행채 5년물(AAA·무보증) 금리가 미국과 우리나라의 예상보다 빠른 통화긴축 전망으로 계속 오른 탓이다.

신용대출과 전세자금대출 금리 역시 7%대를 돌파했다. 한 달 사이 신용대출 금리(1등급·1년)는 연 5.108∼6.810%에서 5.953∼7.350%로 뛰었다. 하단의 인상폭은 0.845%포인트에 이른다. 지표인 은행채 1년물 금리가 같은 기간 0.522%포인트 치솟았기 때문이다.

대표적 서민 대출상품인 전세자금대출(주택금융공사 보증·2년 만기) 최고 금리도 지난주 7%를 넘어선데 이어 7.350%에 다가서고 있다.

시중은행의 7%대 가계대출 금리시대는 2009년 이후 약 13년 만에 처음이다. 더구나 대출금리는 연말까지 더 오를 가능성이 크다. 은행권과 시장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물가·환율 상승과 미국의 자이언트스텝 등에 대응해 다음달에도 기준금리를 최소 0.25%포인트 더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대출금리가 기준금리 인상폭 만큼만 높아져도 이미 7%대 중반인 가계대출 최고 금리는 8%에 근접하거나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 만일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가 8%대에 이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의 일이다.

자금시장 경색과 부동산 경기침체가 맞물리면서 제2·3금융권 대출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대출이 중단되는 ‘컷오프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물론 상호금융권은 내달부터 부동산 관련 신규 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키로 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