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 중후반을 기록하며 3개월 만에 전월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중국집. /연합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 중후반을 기록하며 3개월 만에 전월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중국집. /연합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5.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달 연속 둔화됐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만에 상승 전환된 것이다. 석유류 상승률은 한풀 꺾였지만 전기·가스 ·수도 등 공공요금이 오르면서 물가를 재차 끌어올렸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5.7%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6.0%, 7월 6.3%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까지 치솟은 뒤 8월 5.7%, 9월 5.6%로 낮아지다 3개월 만에 다시 올랐다.

이를 품목별로 보면 전기·가스·수도가 23.1% 오르면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도시가스가 36.2% 올랐고, 전기 역시 18.6%의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부터 전기·가스 등 공공요금이 인상된 여파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전기요금은 지난달부터 1킬로와트시(kWh) 당 7.4원 올랐고, 주택용과 일반용 등 민수용 도시가스 요금도 메가줄(MJ) 당 2.7원씩 인상됐다.

상품·서비스 등 다른 분야의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산업용 전기나 영업용 가스의 경우 이보다도 더욱 큰 폭으로 가격이 올랐다. 이에 따라 전기·가스·수도 등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기여도는 지난 9월 0.48%포인트에서 10월 0.77%포인트로 확대됐다.

공업제품의 경우 석유류가 10.7%, 가공식품이 9.5% 오르면서 6.3% 올랐다.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까지 오른 뒤 7월 35.1%, 8월 19.7%, 9월 16.6%로 둔화하고 있다. 특히 휘발유는 마이너스(-) 0.25%를 기록해 올해 들어 처음으로 전년 동월 대비 하락 전환했다.

이처럼 석유류 상승률이 한풀 꺾였음에도 5%대 중후반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공공요금의 오름세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이 폭등한 것은 문재인 정부의 무리한 탈원전 정책에 기인한다. 앞으로 ‘문재인 케어’ 후폭풍으로 건강보험료 인상도 불가피해 국민 부담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