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관련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
한덕수 국무총리가 1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이태원 사고' 관련 외신기자 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연합

이태원 압사사고와 관련해 윤석열 정부를 비난하는 외신기사들이 쏟아져 나온다. 이런 기사를 작성한 기자 대부분이 한국계 아니냐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온다.

◇NYT·블룸버그의 尹정부 비난 기사들, 한국계 기자들이 작성

뉴욕타임스(NYT), 블룸버그 등은 이태원 압사사고의 책임을 두고 ‘尹정부의 사고예방 조치 미흡’을 지적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30일 ‘이태원 핼러윈 참사는 완벽하게 막을 수 있었다’는 기사를 통해 "인파가 몰릴 것이 충분히 예상됐지만 적절한 대비책이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박지현 전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의 글을 인용해 "정부는 군중을 통제하지 못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보도했다. 해당 기사는 최상훈 기자가 작성했다.

오마이뉴스는 지난 2일 NYT가 ‘이태원 참사, 분명히 피할 수 있었다’는 기사를 냈다고 전했다. 매체는 그러나 기사 작성자가 한국계라는 점을 밝히지 않고 기사에서 언급한 호주 전문가의 말만 인용했다.

블룸버그는 "윤 대통령은 사과와 함께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 역사상 가장 치명적인 참사에 대해 조사를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사는 샘 킴이라는 한국계 기자가 썼다. "윤 대통령이 군중 통제의 치명적인 실패를 인정했다"며 사고 사망자를 희생자(victims)라고 표현한 블룸버그 기사는 강신혜 기자와 김소희 기자가 작성했다.

국내 다수 언론이 인용한 "윤 대통령이 너무 빨리 미국의 짐이 됐다"는 美 ‘내셔널 인터레스트’의 기사는 한국계 미국인 교수 기고문이었다. 그는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 활동했다. 지난달 30일 노컷뉴스가 이 기고문을 인용해 "미 언론, 尹 지지율 추락 분석…미국에 짐 됐다"고 보도했다. 이후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이 이 글을 인용해 "미국 언론도 보도를 시작했다"며 윤석열 정부를 비난했다.

다른 많은 언론들도 "미국 언론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며 ‘내셔널 인터레스트’와 블룸버그 기사를 함께 인용했다. 이 블룸버그 기사도 국내지사에 근무하는 한국인 기자가 작성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각에서는 미국 현지 시각과 다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朴정부 때부터 한국인 기고문, 외신보도 둔갑…외신 왜곡사례도

이처럼 한국 정부를 비난하는 외신 기사 가운데 한국계 기자들이 쓴 게 적지 않다는 점은 해외의 시각을 왜곡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런 양상은 박근혜 정부 때부터 두드러졌다.

2015년 말 한국에 부정적인 외신 보도를 한글로 번역해 SNS에 올리며 박근혜 정부를 비판했던 ‘뉴스프로’와 ‘정상추 네트워크(정의와 상식을 추구하는 시민 네트워크)’가 매우 유명했다.

외신 보도를 왜곡해 인용한 사례 가운데 유명한 것은 2017년 4월 1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은 중국의 속국’이라고 말했다"는 기사다. 같은 해 4월 12일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트럼프 당시 대통령은 "시진핑은 북한이 아니라 한반도의 수천 년 역사에 대해 이야기했다"면서 "그 사이에 (중국과 한국 사이에) 많은 전쟁이 있었고, 한반도는 실질적으로 중국의 일부(속국)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즉 "한국은 중국의 속국"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트럼프에게 한 말이었다. 하지만 한국 언론들은 마치 트럼프가 이 말을 한 것처럼 보도했다. 제목 또한 "트럼프 발언 파문" "역사 지식이 부족한 트럼프" 등이었다. 시진핑을 비판한 기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