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경찰이 중국의 비밀경찰조직 감시 거점 중 하나로 의심하는 토론토 인근 스카버러 지역의 한 편의점. /AP=연합
캐나다 경찰이 중국의 비밀경찰조직 감시 거점 중 하나로 의심하는 토론토 인근 스카버러 지역의 한 편의점. /AP=연합

중국의 해외경찰서 운영과 관련해 미국 국무부가 6일(현지시간) "이 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인다"고 입장을 분명히 했다. 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중국의 해외경찰서 운영과 관련한 질문에 "중국의 국경을 넘어선 탄압에 대해 계속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답했다.

스페인 마드리드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SGD)가 지난 9월 중국이 ‘해외 110 서비스 스테이션’이라는 이름의 비밀 해외경찰서 54곳을 불법 운영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이어 최근엔 한국 등 48곳에서 시설을 추가 확인했다고 폭로했다. ‘해외 110 서비스 스테이션’의 ‘110’은 우리나라의 ‘112’처럼 경찰신고 번호다. SGD는 ▲저장성 칭톈(靑田) ▲저장성 원저우(溫州) ▲장쑤성 난퉁(南通) ▲푸젠성 푸저우(福州) 등 4개 공안국에서 권역을 나눠 ‘해외 110 서비스 스테이션’을 관리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4개 공안국이 소재한 4개 성은 지난 40년 개혁개방, 20년 고도성장의 수혜자들이 가장 많은 지역이다. 해외에 정착한 중국인들의 국내 거점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국내에 가족·친족들이 남아 있을수록 ‘문제 교민’을 다루기 쉬워진다.

SGD가 지금까지 밝힌 바에 따르면 중국의 해외 비밀경찰 조직은 한국, 미국 뉴욕·로스앤젤레스, 일본 도쿄, 프랑스 파리, 캐나다 벤쿠버·토론토, 이탈리아 밀라노·로마, 호주 시드니 등 전세계 53개국·102곳에서 운영 중이다. 이들 비밀경찰서를 통해 해외 거주 중국 국적자들을 감시 억압하며, 경우에 따라 본국으로 강제송환 한다고 한다. 이런 주장을 중국 외교부는 전면 부인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을 겪는 해외 교민들을 위한 시설", "운전면허증 갱신 등을 지원해 온 ‘영사 콜센터’에 불과하다"는 입장이다. 중국 측 해명이 표면적 사실일지라도 대사관 영사관처럼 주재국의 승인을 받은 공식 외교공관이 아닌 곳에서 영사업무를 처리하면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1961년) 위반이다.

구체적인 미국 내 중국비밀경찰 운영 규모 등에 관해 프라이드 대변인은 "법무부나 연방수사국(FBI)에 물어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그러나 "넓게 보면 미국에서만의 현상이 아니라 우리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것"임을 강조했다. 강한 표현도 이어졌다. "(해외 비밀경찰조직은) 중국 당국이 자국 정부에 비판적인 이들을 침묵시키기 위해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 사람들을 괴롭히고 감시 위협하는 중국의 초국경적 (탄압)시도의 일부", "불행하게도 이런 일이 중국에게는 특이한 일도 아니다."

아울러 프라이스 대변인은 이 문제를 국제사회에서 공론화시킬 가능성을 예고했다. "전 세계 다른 정부들과 얘기하고 있다. 그게 어디 있든지 일관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실제 네덜란드가 지난 1일 2곳에 대해 폐쇄명령을 내렸고, 독일과 캐나다 등은 조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외국 정부기관 관련 방첩을 담당한 우리나라 국가정보원은 5일 이에 관한 질의를 받자 "중국 공안도 경찰이니 같은 경찰이 더 잘 알 것이다. 경찰에 문의하라"고 답변했다.

세이프가드디펜던스가 공개한 해외 중국경찰서 위치. 색칠된 부분이 경찰서가 설치된 국가들이다. 이 단체는 전세계 53개국에서 103개의 불법경찰서가 해외중국인 감시 및 반체제인사 강제 귀국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세이프가드디펜던스(SGD)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