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비율이 거의 8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다. 한국은행 최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은 17.7%로 10월(20.7%)과 비교해, 한 달 사이 3.0%포인트가 떨어졌다. 이는 새 가계대출의 82.3%가 변동금리라는 뜻으로 변동금리 비중은 2014년 1월(85.5%) 이후 7년 10개월 만에 최대 기록이다. 사진은 3일 서울의 한 은행에 붙은 대출 안내 현수막. /연합
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비율이 거의 8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다. 한국은행 최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예금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은 17.7%로 10월(20.7%)과 비교해, 한 달 사이 3.0%포인트가 떨어졌다. 이는 새 가계대출의 82.3%가 변동금리라는 뜻으로 변동금리 비중은 2014년 1월(85.5%) 이후 7년 10개월 만에 최대 기록이다. 사진은 3일 서울의 한 은행에 붙은 대출 안내 현수막. /연합

은행들이 새해 들어 대출 문을 다시 열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도 확대 적용된다. 실수요자가 체감하는 대출 문턱이 여전히 높은 이유다.

금융당국은 지난해와 같은 ‘대출절벽’ 사태는 없을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올해 역시 가계대출과의 전쟁을 이어가면서 은행권의 대출 여력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가운데 대출금리마저 오르고 있다. 실수요자의 이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가계대출의 변동금리 비중이 사상 최고 수준에 달해 올해 가계의 이자 부담만 7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3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1628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0조원(7.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 같은 증가율은 금융당국이 제시한 목표치 5~6%대를 뛰어넘은 것이다.

이 때문인지 금융당국은 올해 가계대출 총량 증가율 목표치를 4~5%대로 제시하며 ‘돈줄 조이기’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증가율을 넉넉하게 용인해 5.9%까지 허용한다고 해도 지난해 대비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은 97조원에 그친다. 증가율이 4.1%인 경우 67조원, 5.0%인 경우 대출 여력은 81조원이다. 지난해 증가액인 110조원과 비교하면 가계대출 총량 증가액이 최대 43조원 줄어드는 셈이다.

이 같은 상황으로 인해 대출이 필요할 때 공급이 바닥나는 대출절벽에 대한 공포가 다시 확산되고 있다. 불안감을 떨치지 못한 실수요자 사이에서 ‘일단 받고 보자’는 분위기가 팽배해지고, 새해 첫날부터 인터넷 전문은행에 대출 수요자가 몰려 뱅킹앱 대출 기능이 다운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도 ‘뇌관’이다.

한국은행의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이자 부담(기준금리 연 1.00% 기준)은 59조원으로 추정됐다. 지난 2020년의 53조2000억원과 비교해 5조8000억원 증가한 것이다. 올해는 지난해와 비교해 10조492억원 늘어난 69조492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7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사상 최대치다. 지난해 가계대출을 받은 1960만명을 전제로 하면 1인당 이자 부담은 지난해 301만원에서 올해는 354만5000원으로 불어난다.

이 같은 추정치는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추가 인상해 연 1.75%까지 올린다는 전망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기준금리 인상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지난해 11월 수치인 75.7%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가계의 이자 부담이 이보다 더욱 커질 것이라는 예상도 내놓고 있다. 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비중이 8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은행의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은 17.7%를 차지했다. 지난해 10월의 20.7%와 비교해 한 달 새 3.0%포인트(p) 줄어들었다. 이는 신규 가계대출의 82.3%가 변동금리를 따른다는 것으로 이 같은 변동금리 비중은 2014년 1월의 85.5% 이후 7년 10개월 만에 최대다.

앞서 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 비중은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 53.0%에 불과했고, 2020년 초저금리 환경 속에서도 63.8% 수준이었다. 불과 1∼2년 사이에 변동금리 비중이 20∼30%포인트나 늘어난 것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 변동금리 비중이 커진다는 것은 대출자와 금융기관 모두에 위험 요인"이라고 말했다.

급격한 이자 부담 상승은 가계 부실을 키우고, 실물경제 회복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특히 주택 구입을 위해 전방위로 차입금을 마련한 빚투족과 영끌족에게는 ‘직격탄’이 될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