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그륵

 

어머니는 그륵이라 쓰고 읽으신다
그륵이 아니라 그릇이 바른 말이지만
어머니에게 그릇은 그륵이다
물을 담아 오신 어머니의 그륵을 앞에 두고
그륵, 그륵 중얼거려 보면
그륵에 담긴 물이 편안한 수평을 찾고
어머니의 그륵에 담겨졌던 모든 것들이
사람의 체온처럼 따뜻했다는 것을 깨닫는다
나는 학교에서 그릇이라 배웠지만
어머니는 인생을 통해 그륵이라 배웠다
그래서 내가 담는 한 그릇의 물과
어머니가 담는 한 그륵의 물은 다르다
말 하나가 살아남아 빛나기 위해서는
말과 하나가 되는 사랑이 있어야 하는데
어머니는 어머니의 삶을 통해 말을 만드셨고
나는 사전을 통해 쉽게 말을 찾았다
무릇 시인이라면 하찮은 것들의 이름이라도
뜨겁게 살아 있도록 불러 주어야 하는데
두툼한 개정판 국어사전을 자랑처럼 옆에 두고
서정시를 쓰는 내가 부끄러워진다

정일근(1958~ )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어머니 유품 중에 구식 재봉틀이 있었다. 무겁고 부피가 큰 골동품 같은 재봉틀은 이사 다닐 때마다 골칫거리였다. 세월이 흘러 결국 재봉틀은 없어졌다. 때때로 재봉틀을 잘 간직하지 못한 사실을 후회했지만 재봉틀을 되찾아올 순 없었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유품 한 점 정도는 간직하고 있어야 하는데, 죄인이 된 기분이었다.

그런데 유품은 고인이 쓰던 물건만이 아니다. 이 시를 읽다보면 고인의 평소 언어도 유품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부피가 크고 무겁지 않아서 보존이 용이하고 잃어버릴 염려 또한 없다.

이 시에서 시인은 어머니를 추억할 때마다 어머니의 말을 떠올린다. 어머니는 겨우 언문을 깨우친 듯하다. 공부를 많이 못한 어머니는, 여자가 똑똑하면 못쓴다는 옛날 고리짝 풍습의 희생양이었을 수도 있겠다. 시인의 어머니는 그릇을 ‘그륵’이라 쓰고 읽었다. ‘그륵, 그륵 중얼거려 보면 그륵에 담긴 물이 편안한 수평을’ 찾는다. 서정시를 쓰는 시인은 언어를 다루는 사람이지만 어머니를 따라가지 못한다. 왜냐하면 어머니의 언어는 생활습관 몸짓 등이 다 들어간 삶과 일치된 말이었던 반면에 시인의 언어는 사전을 통해 습득된 꾸민 말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