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첫날 강원도 최전방의 22사단 GOP(일반전초) 철책을 통한 월북 사건이 발생하면서 대북 감시망의 허점이 또다시 노출됐다. 이번 월북 사건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병력을 철수시킨 GP(감시초소) 인근에서 발생했다. 합참 관계자는 "(월북자가) 우리 GP 좌측에서 감시 장비에 포착됐다"면서 "해당 GP는 (인원을 철수한 후) '보존GP'로 유지되고 있고, 그 GP에 CCTV를 보강했고, 그 인근 보급로 상에서 열상감시 장비로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고성 GP는 군사적·역사적 가치를 고려, 통일역사유물로 선정돼 원형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했다. /연합
새해 첫날 강원도 최전방의 22사단 GOP(일반전초) 철책을 통한 월북 사건이 발생하면서 대북 감시망의 허점이 또다시 노출됐다. 이번 월북 사건은 9·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병력을 철수시킨 GP(감시초소) 인근에서 발생했다. 합참 관계자는 "(월북자가) 우리 GP 좌측에서 감시 장비에 포착됐다"면서 "해당 GP는 (인원을 철수한 후) '보존GP'로 유지되고 있고, 그 GP에 CCTV를 보강했고, 그 인근 보급로 상에서 열상감시 장비로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고성 GP는 군사적·역사적 가치를 고려, 통일역사유물로 선정돼 원형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했다. /연합

지난 1일 강원 고성군 22사단 경비구역을 통해 월북한 인원은 2020년 11월 귀순했던 탈북민으로 확인됐다. 이 탈북민은 귀순 후 청소용역원으로 일하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일각에서는 간첩 활동 가능성을 제기했으나 군 당국은 이에 대해 부정했다.

3일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월북자는) 2020년 11월에 강원도 고성 군사분계선을 넘어 귀순한 인원"이라며 "나이는 30대 초반이다. 이름은 정확히 말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월북자는 지난 1일 낮 12시께 민간인 통제선 일대 CCTV(폐쇄회로 카메라)에 포착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확인 과정에서 2020년 11월 귀순한 인원과 인상착의가 동일하다 할 정도로 흡사했다"고 설명했다. 얼굴을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하게 영상이 찍힌 것으로 전해졌다.

월북자는 지난해 12월 29일까지 당국과 연락을 했지만 30일부터 연락을 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때부터 월북을 준비하며 강원 고성군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월북자는 2020년 11월 귀순 후 청소용역원으로 일하며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인원은 그간 관리 당국과 연락에 비교적 잘 응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간첩일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관리 규정에 따라 관리했고 (월북자는) 정보 접근이 자유롭지 않은 직업이었다. 정기적으로 관리가 됐던 분"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대공용의점을 묻는 질문에 "그것에 대해서는 관련 기관이 세부적으로 확인 중으로 알고 있다. 현재까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3미터 높이의 철책을 뛰어넘었다는 점에서 체조선수 출신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확인되지는 않았다. 국방부 관계자는 "체조선수인지는 확인된 바 없다. 제가 알기로는 확인된 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이번 월북 사건과 관련해 한국군의 대북전통문을 받았다고 응답하면서도 이에 대한 답변은 따로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대북전통문을 2번 발송했다. 북한은 수신은 잘했다고 2회 응답했다"며 "북한이 아무 반응 없는 게 아니고 수신은 했고 답변은 안 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