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동식
주동식

내년 11월 11일 부산 남구 평화공원에 리처드 위트컴 장군의 동상이 들어설 예정이다. 3만 명이 1만 원씩 내는 모금을 통해 만들어지는 이 동상은 부산에 세워지는 첫 외국인 동상이기도 하다.

위트컴 장군은 1953년 11월 미군 부산군수기지사령관으로 근무하던 중 부산 역전 대화재의 이재민 3만 명에게 식량 등 군수물자를 제공했던 인물이다. 그는 이 일로 미국 의회 청문회에 소환됐으나 "전쟁은 총칼로만 하는 게 아니라 그 나라 국민을 위하는 것이 진정한 승리"라고 소신을 밝혀 기립박수를 받았다. 그는 전쟁고아를 위한 보육원과 메리놀병원, 부산대 설립도 적극 지원했다.

미국이 한국의 독립과 건국, 발전을 위해 기여한 것은 새삼 언급하는 게 쑥스러울 정도다. 6·25전쟁 당시 자유세계 지도 국가로서 한국과 손잡고 공산군의 침공을 격퇴한 것은, 세계사적으로도 엄청난 의미가 있는 업적이었다. 그런 점에서 위트컴 장군의 동상 건립은 박수로 환영해야 할 일이다.

하지만 의문이 남는다. 미군이 아무리 결정적인 도움을 줬다 해도 6·25전쟁 당사자는 대한민국 국민들과 군인들이었다. 그런데 6·25전쟁에서 피 흘려 나라를 지킨 그 영웅들의 자취가 우리 주위에 과연 얼마나 남아 있는가.

6·25전쟁은 숱한 전쟁 영웅들을 낳았다. 낙동강 전선의 운명이 걸린 다부동 전투를 온몸으로 지휘해 처절한 승리를 이끌어낸 백선엽 장군, 전쟁 초기 춘천전투의 승리로 반격의 계기를 만들고 백마고지의 승리까지 이끌었던 김종오 장군, 경기 양평 용문산에서 중공군 3개 사단의 공격을 받아쳐 적군 2만 명을 사살하고 3500명을 포로로 잡는 어마어마한 승리를 거두었던 임부택 장군 등이 떠오른다.

이 가운데 백선엽 장군의 동상은 육군 1군단 사령부에 건립된 것이 유일하다. 최근에는 국가보훈처가 다부동 전적지에 장군의 동상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전쟁 영웅들의 동상은 찾아보기 어렵다. 출신학교 등에 간단한 흉상 정도가 세워진 것이 고작이다.

전쟁 영웅에는 고급 지휘관들만 있는 것이 아니다. 계급은 높지 않아도 이름 없이 빛도 없이 목숨 바쳐 나라를 지킨 무명용사들의 희생도 기억해야 한다. 대한민국 자체가 그들이 남긴 유산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의 집단기억에는 그들을 위한 공간이 없다.

2023년은 6·25전쟁 종전 70주년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은 1948년 8월 15일이지만, 사실상의 건국은 6·25전쟁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런 점에서 6·25전쟁의 영웅들은 건국의 유공자이기도 하다.

그들의 기여를 보다 많은 사람들이 기억하게 만드는 것은 대한민국의 정체성 회복과 국민들의 연대감 강화에 결정적으로 기여한다. 보다 많은 전쟁 영웅들을 발굴해 그들의 동상을 만들어야 한다. 이는 대한민국을 무너뜨리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반(反)대한민국 좌파 세력에 대해 효율적인 대응전략이 될 수 있다.

위트컴 장군 동상 건립은 의미있는 일이다. 하지만 의미있는 일이라도 우선순위를 따져야 한다. 위트컴 장군은 미군이며 전투 업적보다 인도적인 시혜 조치로 평가받는 분이다. 전쟁 영웅들을 동족 학살의 범죄자인 것처럼 몰아가는 좌파들의 시비를 피하기에는 적절한 인물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좌파의 시비가 두려워 정작 우리가 가장 먼저 기억하고 기려야 할 우리의 전쟁 영웅들을 외면할 것인가.

위트컴 장군 동상 건립을 주도하는 국민의힘 정치인들에게 당부하고 싶다. 위트컴 장군 동상 건립도 좋은 일이지만 가장 먼저 할 일은 아니다. 가장 먼저 할 일은 국군 전쟁 영웅들의 발굴을 포함, 대한민국 정체성 회복을 위해 좌파 무리들과 맞서 싸우는 것이다. 국민의힘 정치인 중에는 시빗거리 피해가는 미꾸라지형 전문가들이 너무 많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