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희 문체부 장관, 산하 코리안심포니 대표에 성악인 임명 논란

11일, 문화체육관광부 황희 장관(오른쪽)이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의 신임 대표로 메조소프라노 최정숙씨를 임명했다. /문체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기관 ‘코리안심포니 오케스트라’ 대표에 최정숙(53, 메조소프라노)씨가 11일 임명됐다. 임기 3년, 음악적 역량과 경영·소통 능력이 요구되는 자리다. 전례 없는 ‘성악가 임용’이라 주목된다.

문체부에 따르면 최 신임 대표는 국내에서 성악을 전공, 이탈리아 파르마 국립음악원·프랑스 에콜 노르말 음악원을 거쳐 숙명여대 성악과 겸임교수(2010~2012)를 지냈다. 예술단체 운영이나 오케스트라 관련 직무 경험은 없다. 특이한 점이라면, 황희 문제부 장관의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서울 양천) ‘당원과 함께하는 2018 송년 평화콘서트’에 출연한 기록이 황 장관 블로그에 올라 있다는 것이다.

코리안심포니 오케스트라(1985년 창단)는 2001년 재단법인이 된 이래, 국고보조(70%)와 지체 수입(30%)으로 운영한다. 오는 23일 새 예술감독 다비트 라일란트의 취임 연주회가 있을 예정이다. 신임 예술감독과의 소통 능력이 최 대표에겐 시험대가 될 것이다. 문체부 측은 "음악인이라는 부분을 고려했다. 지역문화진흥원 이사로서 적극적인 소통 능력을 보였다는 점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최 씨가 지역문화진흥원 이사에 선임된 지 불과 2개월 전, 성악가로서의 역량·존재감 역시 ‘제로’라는 게 음악계의 평가다.

"전형적인 정권 말 알박기 인사", "음악 전공자라는 이유로 오케스트라 대표에 메조소프라노를 임명한 건 촌극"이란 표현까지 나온다. "경력과 직무에 연관성이 없다. 음악인이라서 오케스트라 운영을 맡는다면 후보는 수없이 많다." 단적으로, 이전 대표들과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박선희 전 대표는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현 금호문화재단)에서 음악영재 발굴을 맡았고, 베를린필하모니·뉴욕필하모니 등의 내한 공연을 주도한 바 있다. 코리안심포니 오케스트라 본부장 출신 이원철 전 대표는 서울시립교향악단 경영본부장·안양문예회관·성남문화재단을 역임했다.

문화예술기관이 정치 외풍에 노출돼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하는 이도 있다. 실제, 전국의 공연장 대표 중 상당수는 문화 분야 전문성이 없는 정치권 관계자다. 지방선거가 끝나면 여러 문화예술 관련 기관장이 임기와 무관하게 사직 요구를 받는다. 시립예술단(교향악단·합창단)의 해체·정리해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정권 교체 때마다 부적절한 인사, 주 52시간 근로 등이 공공 공연장과 민간단체 및 기획사의 운영난을 초래해 왔다.

2016년 시행된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 또한 문제다. 기업 후원이 줄어 좋은 공연을 기획하기 어려워졌다. 당연히 연주자들의 설 자리가 좁아진다. 청탁금지법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뛰어난 클래식 연주자가 많기로 유명하다.

1957년 생긴 유네스코 ‘국제 콩쿠르 세계연맹’ 공인 대회의 한국인 수상은 약 150회(5년 전 기준), 근년 주요 국제콩쿠르 상위 입상 소식을 더 자주 듣는다. 클래식음악 역시 잘 이해하고 재해석·공연을 즐기는 사람들이 주인이다. 서양에서 왔다는 이유로 ‘남의 것’이라 여길 필요가 없다. 제대로 된 공공지원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