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 그간 ‘늑대외교’를 견지해온 중국 정부의 강경한 입장을 대변해왔다. /중국외교부

신장과 홍콩의 인권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가 우려하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하자 중국이 내정 간섭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사실, 중국의 반응은 전혀 특별하거나 새로울 게 없다. 이런 경우 주목할 점은 중국이 민감하게 나올 게 뻔한 문제를 굳이 지적하는 외교적 행위의 속내다.

 

이 시점에서 일본이 그 문제를 언급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하다. 문제 삼는 측의 표현 수위, 아울러 그것으로 예상되는 외교적 이익 등을 살펴야 한다. 인권이나 환경 문제에 관해 모든 불이익을 무릅쓰고 시종일관 지적하는 경우는 드물다. 다분히 외교적 압박 카드, 외교적 입장 표명으로 활용되는 게 일반적이다.

2일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자오리젠 대변인은 "일본 중의원이 통과시킨 인권 결의가 사실을 무시하고 중국의 인권 상황을 악의적으로 헐뜯은 것"이라며 비난했다. 이어 "중국 내정을 난폭하게 간섭하는 것으로, 질이 매우 나쁘다"고 강조했다. 특히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침략 행위를 언급했다.

 

"다른 나라의 인권 상황에 대해 이래라저래라 말할 자격이 없다"는 주장이다. 그렇다면 인류 근현대사를 ‘백인들의 악행’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뭐가 다른가, 80~90년전 역사를 지금 거론하며 외교적 반박 논리로 삼는 게 과연 정당한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패전 후 자유민주국가로 거듭난 일본은 엄연히 자유세계의 주요 일원이다.

일본 중의원이 전날 여야 의원 다수 찬성으로 채택한 ‘신장 위구르 등에서의 심각한 인권상황에 대한 결의’엔, 애초 초안 단계에서 검토됐던 중국 국가명은 명시하지 않았다. ‘인권침해 비난’이라는 표현 역시 전통적으로 대중 관계를 중시해온 공명당의 요청에 따라 포함시키지 않았다. "중국에 주장할 것은 주장하고 책임 있는 행동을 강하게 요구하는 게 일본 정부 입장이다." 기자회견에 임한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관방장관은 이런 논평을 내놨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