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쌍둥이 ‘앙부일구’ 3점이 이번에 새롭게 보물로 지정됐다. 성신여대박물관 앙부일구(좌). 국립고궁박물관 앙부일구(중). 국립경주박물관(우). /연합

조선시대 공용 해시계 ‘앙부일구’(仰釜日晷) 3점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선정됐다. 문화재청은 2020년 미국에서 들여온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앙부일구와 국립경주박물관·성신여대박물관에 있는 앙부일구를 보물로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세쌍둥이’처럼 크키과 무게가 거의 비슷한 앙부일구는 조선시대 천문사상이 담긴 과학문화재로, 솥을 뒤집어 놓은 듯한 형태가 특징이다. 세종 16년(1434) 장영실·이천·이순지 등이 왕명에 따라 제작해 종로에 있던 다리인 혜정교와 종묘 앞에 설치했다.

조선시대 전기 앙부일구는 남아 있지 않으며,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3점도 1713년 이후 것으로 추정된다. 겉면 글씨가 ‘북극고 37도 39분 15초’(北極高 三十七度 三十九分 一十五秒), 안쪽엔 북극을 향한 ‘영침’(影針, 그림자침)이 달렸다. 15분 간격의 시각선과 계절·절기를 알려주는 눈금도 있다. 오목한 몸체를 받치는 네 개의 다리엔 여의주를 물고 승천하는 용이 표현됐다. 무게 4.5㎏ 안팎, 지름 24㎝ 정도로 재질은 모두 황동(구리 90%)이다.

"보물로 지정된 앙부일구 3점은 쌍둥이라고 여겨질 정도로 공통점이 많은데, 이는 주물로 제작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후대로 갈수록 무겁고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보고서의 설명이다.

현존하는 앙부일구는 10점인 가운데,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는 또 다른 앙부일구(1985년 지정)와 이번에 추가된 세 점까지 보물 앙구일구는 총 4점으로 늘었다. 문화재청은 네 앙부일구를 구분하기 위해 1985년 지정 유물은 ‘앙부일구(1985)’로 표기하고, 국립고궁박물관·국립경주박물관·성신여대박물관 소장품은 각각 ‘앙부일구(2022-1)’, ‘앙부일구(2022-2)’, ‘앙부일구(2022-3)’로 구분하기로 했다.

앙부일구 외,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보유한 ‘자치통감 권266∼270’과 조선 후기 불상인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도 보물로 지정됐다. 자치통감 권266∼270은 1434년에 만든 금속활자인 갑인자(甲寅字)로 1436년에 찍은 책이며, 경주 분황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높이가 3.4m에 이르는 대형 불상이다. 이 불상은 1998년 분황사 보광전 해체·수리 과정에서 나온 기록을 통해 1609년에 구리 5천360근으로 제작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새롭게 보물로 지정된 불상 ‘경주 분항사 금동약사여래입상’(좌)와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보유한 ‘지치통감 권266~270’(우). /연합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