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를 따라갈 경우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이 40조원 가까이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시중은행 창구 모습. /연합
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를 따라갈 경우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이 40조원 가까이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의 한 시중은행 창구 모습. /연합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3년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가운데, 우리나라가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를 따라갈 경우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이 40조원 가까이 늘어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7일 발표한 ‘미국 금리인상의 한국경제 영향과 시사점’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전년 동기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실업률, 통화량(M1) 등 경제 변수를 바탕으로 미국의 적정 단기 국채 금리 수준을 추정했다. 그 결과 6개월 만기 미 재무부 채권의 적정 금리는 2.14%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평균 재무부 채권 금리 수준이 0.10%라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2.04%포인트 더 오를 것이라는 의미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한다면 단기 국채 금리가 적정 수준을 보일 때까지 인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투자은행들은 미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4∼7회 인상한데 이어 내년에도 추가적인 인상을 통해 기준금리가 2.0∼3.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의 단기 국채 금리가 미국의 적정 금리 상승폭만큼 오를 경우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을 계산했다. 우리나라 단기 국채 금리가 미국 적정 금리 상승 폭인 2.04%포인트 만큼 올라가면 가계대출 금리는 2.26%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인상에 따른 연간 가계대출 이자부담 증가액은 39조7000억원으로 추정됐다. 여기에 통계청이 측정한 금융 부채를 보유한 가구 비율(57.4%)을 고려하면 금융 부채가 있는 가구당 이자부담은 340만원씩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또 미국과 한국 간 금리 차이를 바탕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국인 투자금 유출입 비율을 추정했다. 이 결과 미국의 6개월 만기 채권 금리가 지난해 4분기 대비 2.04%포인트 오른 가운데 우리나라가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경우 한국 시장에서 유출되는 외국인 투자금 규모는 31억5000만 달러(약 3조8238억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