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
/연합

지난해 직장을 그만둔 사람들 중 절반이 정리해고와 직장 휴폐업 등의 이유로 ‘비자발적’ 퇴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시간 취업자 수가 최고조에 달하는 등 고용의 질도 나빠지고 있다.

11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5년 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비자발적 퇴직자 수가 2016년 125만8000명에서 지난해 157만7000명으로 25.4%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비자발적 퇴직자 비중은 전체 퇴직자의 47.8%에 달했다. 퇴직자의 절반은 원치 않는데도 회사를 그만뒀다는 뜻이다. 비자발적 퇴직자란 정리해고, 휴폐업, 명예·조기퇴직 등으로 실직 상태인 사람을 일컫는 말로 해당 연도에 퇴직해 조사 시점까지 실직 상태일 때 통계에 포함된다.

장시간 취업자는 줄고, 단시간 취업자가 느는 등 고용의 질도 최근 5년 새 크게 악화됐다. 지난해 주당 평균 노동시간이 36시간 이상인 취업자는 2016년 대비 143만1000명(6.7%) 감소했다. 반면 17시간 미만 취업자는 88만5000명(69.9%) 증가했다.

17시간 미만의 단시간 취업자 수는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80년 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200만명을 돌파하기도 했다. 가파른 최저임금 인상이 단시간 취업자 증가로 이어졌다는 것이 전경련의 분석이다.

15시간 미만의 초단시간 취업자 수가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인상됐던 2018년, 2019년에 각각 14.1%, 18.9% 증가한 것이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한다. 초단시간 취업자는 지난해에도 16.0%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