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생 이후 서울 시내 주요 상권들의 양극화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량진수산시장을 핵심 상권으로 둔 노량진1동의 경우 ‘홈쿡’ 트렌드로 매출이 크게 올랐다. /연합
코로나19 발생 이후 서울 시내 주요 상권들의 양극화가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량진수산시장을 핵심 상권으로 둔 노량진1동의 경우 ‘홈쿡’ 트렌드로 매출이 크게 올랐다. /연합

3일 서울시 정책연구기관인 서울연구원이 발행한 ‘서울도시연구’ 최근호에 실린 ‘코로나19가 서울시 상권 매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논문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서울 내 대표적 상권들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지구인 중구 소공동 상권은 유동인구와 매출이 모두 줄어든 반면 재택근무와 온라인수업의 영향으로 용산전자상가를 끼고 있는 용산구 한강로동의 매출은 크게 증가한 것이다.

이번 논문에서 고려대 정책대학원 데이터통계학과 임현정 석사와 최상범 고려대 통계학과 교수는 코로나19가 처음 국내에서 발생한 2020년 1월을 기점으로 전후 1년간 서울시에서 영업한 모든 점포의 분기별·업종별·상권별 추정 매출액과 유동인구 자료를 분석했다. 또한 전체 1496개 상권 중 유동인구와 매출액 정보가 모두 있는 상권 1487개를 375개 행정동 단위로 집계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의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상권은 홍대입구역 주변의 마포구 서교동(2576만명)으로 확인됐다. 이어 남대문 주변을 상권으로 둔 중구 소공동(266만명)과 종각역과 광장시장 주변 상권인 종로구 종로1∼4가동(2031만명)이 2~3위를 차지했다. 이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유동인구는 대체로 감소했다. 서교동이 여전히 1위를 지켰지만 612만명이 줄어든 1964만명을 기록했다. 특히 중구 소공동(2위→5위), 강남구 역삼1동(8위→10위) 등 업무지구와 서대문구 신촌동(4위→7위)을 비롯한 대학가 상권들이 큰 순위 하락을 겪었다.

매출액은 2019년과 2020년 모두 용산전자상가를 낀 용산구 한강로동이 수위를 점했다. 코로나19에도 오히려 매출이 1조6000억원 가까이 상승했다.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고 재택근무·원격수업을 이유로 가전제품과 컴퓨터 구매 수요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노량진1동(10위→6위)과 가락1동(20위 밖→9위)의 순위도 크게 상승했다. ‘홈쿡’으로 식재료 수요가 늘면서 농수산물 시장 도소매 매출이 증가한 영향이라는 게 저자들의 판단이다.

반면 오피스타운인 중구 소공동은 매출액이 2019년 2조2500억원에서 2020년 1조9800억원대로 떨어졌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