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양구 전 우크라 대사, 13일 본지와 통화서 신정부에 정책 제안

“세계적 경쟁력 확보한 분야 중심으로 서로 지속성장 가능한 협력해야”
“자유민주주의 진영 동맹 강화 및 전후 질서 구축 질서에 주도적 동참”
“SDGs 외교로 유라시아 실크로드 구축해 장기적 국가 번영 기틀 마련”
“민간 전문가 참여하는 북방경제협력위원회 같은 컨트롤타워 있어야” 

이양구 전 우크라이나 대사. /자유일보 DB
이양구 전 우크라이나 대사. /자유일보 DB

“윤석열 정부는 대한민국의 핵심역량을 활용해 국익 기반의 실리적 접근으로 우크라이나 재건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아마 초기에는 파괴된 국가 기반시설의 복구에 초점이 모아질 것이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우크라이나의 지속적인 번영과 발전을 추구할 수 있는 경제, 사회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목표가 될 거에요.”

13일 오후 자유일보와 통화한 이양구 전 우크라이나 대사는 대한민국 신(新)정부인 윤석열 정부에 이같은 정책을 제안했다. 그는 통화에서 “우크라이나의 실제적 필요에 기초해 한국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양국간 지속성장 가능한 협력의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사는 지난 2016년부터 3년간 우크라이나 대사를 지냈고, 그에 앞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를 지낸 경력을 가진 현재 동북아공동체문화재단 상임대표인 국제정치전문가다.

그는 “이를 위해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등 국제적 합의가 있는 이니셔티브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우크라이나는 2025년까지 우리 정부의 ODA(공적개발원조) 중점 협력국으로 지정돼 무상개발 협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 및 유럽의 입장 못지않게 우크라이나 정부의 의지 역시 주요 변수가 될 수 있으므로 우크라이나 내 주요 인사와의 협력을 통한 사전 교감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사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대한민국이 참여할 경우 단기적으로는 범 자유민주주의 진영 내 동맹 강화 및 전후 질서 구축 질서에 주도적으로 동참하는 것이 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SDGs 외교를 본격 추진해 유라시아 실크로드의 구축을 통해 장기적인 국가 번영의 기틀을 마련할 수도 있다”고 실익에 대해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유라시아 내 SDGs 허브로서 5개의 리틀코리아(블라디보스톡, 몽골, 키르키스스탄, 우크라이나 르비우, 몰도바)를 구축하고, 2024년 대한민국에서 개최하는 국제 행사를 활용하는 결정적 시점화 전략이 필요하다”며 “대유라시아 SGDs 실크로드를 구축해 농업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에너지, 환경, 바이오, 물류, 유통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적인 방안에 대해 묻자 이 대사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이 갖고 있는 외교·안보적 영향력을 고려할 때 전담할 국가기관과 신정부 내 우크라이나 대책위원회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부처와 달리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고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북방경제협력위원회와 같은 반관·반민 성격의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정부, 공기업, 민간기업, NGO가 함께 참여하는 ‘팀 코리아’를 구축해 상호 역량을 보완하는 팀워크를 발휘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산업·기술적 역량을 고려할 때, ICT 기반의 스마트 도시, 스마트 공장, 스마트 농장(스마트팜) 중심의 도시 재건 사업이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정부의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 기대효과에 대해서는 “전쟁 피해 국가에서 성공적인 국가 재건을 이룩한 나라로. 국제 질서의 능동적 참여자로서의 국가 위상이 제고될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의 자유민주주의 확립을 통해 동북아시아 지정학적 안정화를 위한 안전판을 확보하고, 천연자원과 식량 강국인 우크라이나와의 동맹강화를 통해 중국 및 러시아에 집중된 중요 자원의 공급처도 다변화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팀 코리아’를 통해 민관협력의 모범 사례를 개발함으로써 ICT, 원자력 등 대한민국 핵심역량의 글로벌 브랜딩 및 이를 통한 양국 간 동반 성장의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