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한국을 첫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과 함께 20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연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 한국을 방문하며 가장 먼저 찾은 곳은 세계 최대의 반도체 회사인 삼성전자의 평택캠퍼스다. 바이든 대통령의 이런 행보에는 중국의 ‘반도체굴기’를 견제하기 위해 반도체 강국인 한국과 미국이 서로 손을 잡아야 한다는 우회적 메시지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전용기인 ‘에어포스 원’은 20일 오후 오산 공군기지에 착륙했다. 원래 해외 정상들은 한국에 방문할 때 서울에서 가까운 성남에 위치한 서울공항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대통령은 오산 공군기지를 착륙지로 택했다. 평택과 인접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삼성전자 평택캠퍼스에서 윤석열 대통령 및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만나 반도체 생산설비를 시찰했다. 이 장면이 의미하는 바는 크다. 세계 반도체업계에서는 미국 정부가 한국과의 경제안보 동맹에서 반도체를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보여주는 방증이라고 평가했다.

또 삼성전자는 시스템 반도체와 메모리 반도체,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등 반도체시장의 3대 분야에서 모두 경쟁력을 가진 업체다.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을 분할하고 있는 미국·한국·일본·대만 등 4개국 중에서 한국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장점유율에 힘입어 반도체 강국의 자리를 내려놓지 않고 있다.

중국과 미국이 2010년대 들어 ‘신냉전’을 벌이며, 두 국가의 경제·산업분야에서의 경쟁도 치열해졌다. 중국은 아직까지는 저렴한 인건비와 개발도상국으로서의 성장률에 힘입어 미국을 뒤쫒고 있지만, 첨단 산업분야에 있어서는 여전히 미국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 격차를 좁히기 위해 중국이 국가차원에서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분야가 바로 반도체다 중국은 세계 반도체 판매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거대 시장이지만 반도체 공급량의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은 ‘반도체 굴기’를 내걸고 2025년까지 반도체 자급률을 7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2014년 1390억 위안, 2019년 2040억 위안 규모의 국가반도체산업투자펀드(빅펀드)를 조성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은 자체 기술 개발은 물론이고 해외 유명 업체의 기술진들에게 거액의 연봉을 제시하며 영입하는 ‘헤드헌팅’도 적극적으로 벌이고 있다. 또 해외업체 직원을 매수해 반도체 기술을 유출시키는 ‘산업스파이’ 행위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이런 합법적·비합법적 기술확보 노력에 힘입어 중국의 반도체 분야 종사자는 2019년 51만2000명에서 2022년 74만5000명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나라로 이런 투자가 계속되면 언젠가는 중국이 세계 최고의 반도체 경쟁력을 가지게 될 가능성도 충분하다.

이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이 손잡고 ‘반도체 연합’을 형성하자는 의미로 바이든 대통령이 평택을 찾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로서도 미국과 협력해 반도체 기술을 발전시킨다면 충분히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미국 정부도 한국 반도체 업체의 미국 투자를 적극 유치하려 하고 있다. 반도체 설비투자 때 과감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인허가 과정을 일원화해 처리 속도를 높인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도 이런 인센티브를 적극 이용해 지난해 1280억달러(약 162조3000억원)였던 반도체 수출을 2027년에는 1700억달러(약 215조6000억원)로 30% 이상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