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중간재·원자재 수입에 있어 중국 의존도가 주요 7개국(G7)보다 높아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합
우리나라의 중간재·원자재 수입에 있어 중국 의존도가 주요 7개국(G7)보다 높아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상대적으로 더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합

우리나라가 산업 생산에 필수적인 중간재와 원자재의 중국의존도가 주요 7개국(G7)보다 높아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3일 ‘우리나라 중간재 대외의존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총수입액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50.2%로 분석됐다. 이는 영국(46.9%), 이탈리아(46.2%), 독일(44.1%), 프랑스(43.3%), 캐나다(43.0%), 일본(40.8%), 미국(38.3%) 등 G7 국가를 웃도는 것이다.

중간재의 중국 수입의존도는 우리나라가 28.3%로 G7 대비 월등히 높았다. G7 중에는 일본이 21.1%로 가장 높았고 미국(13.3%), 캐나다(10.3%), 독일(8.0%), 이탈리아(7.3%), 영국(6.4%), 프랑스(5.2%) 순이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중국 의존도가 8.9%포인트(p) 높아진 반면 G7은 평균 0.8%p 오르는 데 그쳤다. 해외에서 중간재 생산에 문제가 발생하면 국내 산업이 경쟁국보다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미중 무역갈등, 요소수 사태, 도시 봉쇄 등 중국발(發) 리스크에도 더 취약할 수밖에 없다.

아울러 희토류, 철강, 리튬 등 산업용 원자재의 중국의존도 또한 G7보다 높았다. 2020년 기준 중국산 원자재 수입비중이 전체 원자재 수입의 33.4%를 차지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원자잿값이 급등한데 더해 원-달러 환율까지 상승해 중간재 수입 비중이 높은 우리 기업들의 생산비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가중되고 있다"며 "이의 개선을 위한 경영환경 개선과 정책 실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