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세계 난민의 날을 앞두고 카메라에 잡힌 파키스탄 라호르 외곽에 살고 있는 아프간 난민 아이들. /AFP=연합
19일(현지시간) 세계 난민의 날을 앞두고 카메라에 잡힌 파키스탄 라호르 외곽에 살고 있는 아프간 난민 아이들. /AFP=연합

20일 세계 난민의 날을 맞아 유엔난민기구(UNHCR)가 16일 공개한 글로벌 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강제 이주민이 지난달 기준 1억 명을 돌파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 규모다. 지난해 말 8930만명에서 5개월 새 12%나 급증했으며, 세계인구(지난달 기준 79억여 명)의 1%를 넘어섰다. 2월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대규모 실향 사태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내전에 따른 아프리카와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의 지속적인 발생도 큰 이유다.

이제 난민수용 문제가 현실적 고민으로 떠올랐다. 영국 정부는 난민 신청자들에게 전자태그를 부착하겠다고 밝혀 비난에 휩싸였다. 난민신청자와 불법이주민을 비행기에 태워 르완다로 보내려던 계획이 유럽인권재판소(ECHR)의 개입으로 불발된 지 며칠 만에 내놓은 계획이었다. ‘위험하거나 불필요한’ 경로를 통해 영국에 도착한 후 추방될 성인들에게 이같은 정책을 1년간 시범 시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피해자들을 범죄자 취급한다"는 비판이 쇄도하지만, 보리스 존슨 총리는 정부 계획을 옹호했다.

곧 다가올 아프리카 ‘식량 난민’또한 유럽연합(EU)이 함께 풀어야 할 문제다. 러시아군의 흑해 봉쇄로 우크라이나산 곡물에 의존하던 아프리카가 식량난을 겪는다. 난민수용국을 재정 지원하거나 난민 강제할당제 도입 방안이 수년간 논의됐으나 좀처럼 합의점을 못 찾고 있다.

우리나라 난민수용 능력은 189개국 중 119위다. 영화 ‘미나리’나 드라마 ‘파친코’ 등에서 보듯 우리도 한 때 이주민·난민 배출국이었다. 이젠 ‘수용국’으로서 많은 것을 정비하고 준비할 때다. 한편 작년 한국에 망명신청을 한 중국인이 11만8476명, 미국(74.9%)·호주·브라질·영국·캐나다에 이어 여섯번째로 많은 중국망명자가 선택했다. 2012년 시진핑 정부 출범 이후 중국 망명신청자가 크게 증가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