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회硏 보고서, 52.3% "유산은 가족에 상속"

“치료 효과도 없는데 굳이 목숨만 유지하고 싶지는 않다.”
국민 4명 중 3명이 연명치료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죽음의 질 제고를 통한 노년기 존엄성 확보 방안' 연구(책임연구자 정경희) 결과다. 연구진은 2018년 9월 현재 만 40세 이상 79세 이하 남녀 1천500명을 대상으로 죽음과 웰다잉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조사대상자 전체의 75.7%가 연명치료를 반대했다.
74.5%는 연명치료를 포함해 죽음과 관련한 모든 결정권을 자신이 행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17.9%만이 제대로 인지하고 있었지만, 이미 작성했거나 앞으로 작성할 의향이 있다는 비율은 47.1%로 높게 나왔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나중에 아파서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빠졌을 때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의사를 미리 밝혀두는 서류다. 19세 이상이면 건강한 사람도 지정 등록기관을 통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작성할 수 있다.
장기기증 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조사대상자의 64.6%가 찬성 의사를 표했다.
또 67.5%는 유언장을 작성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고, 66.4%는 유언장을 이미 작성했거나 앞으로 작성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임종 이전 재산처리 방식으로 절반이 넘는 52.3%가 자녀 또는 가족에게 상속하겠다고 했고, 26.1%는 자신이 쓰고 싶은데 지출하겠다고 답했다.
19.1%는 일부 재산은 자녀에게 상속하고 일부는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했지만, 사회에 모든 재산을 환원하겠다는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khs911@jayoo.co.kr저작권자 © 더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