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수행을 평가하는 여론조사에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앞지르는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언론들은 이를 ‘데스크로스’라며 의미를 과대포장하느라 바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는 당연한 현상이고 우려할 일도 아니다. 애초부터 0.7% 포인트 차이의 아슬아슬한 승리였고, 이는 우리 사회에 좌파의 이념적 영향력이 강고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문재인 정권의 국정 파탄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눈 감고 귀 닫은 국민들이 많은 것이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도 반대가 많았다가 지금은 반대여론이 잦아들었다. 윤 정권 내내 이런 현상이 되풀이될 가능성이 높다. 선입견을 때려부수는 개혁에 심리적으로 저항하다가 서서히 그 당위를 인정하게 되는 심리적 기제이다.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재조사나 경찰국 신설 등도 민주당 지지층의 발작적인 반발을 부르고 있다.

윤석열 정권은 거대한 좌파 기득권의 벽을 때려부수는 소명을 받아 출발했다.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수록 여론의 반발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여론의 반발이 많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윤 정권이 자기 역할을 잘하고 있다는 시그널이다.

중요한 것은, 조변석개하는 여론 동향에 일희일비하지 않으면서, 개혁을 지속적으로 추동할 수 있는 내부 동력을 강화하고 저변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대통령의 국정 파트너이자 개혁의 전초기지여야 할 국민의힘이야말로 진정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이준석 당대표 징계부터 마무리지어야 한다. 대통령과 정치적 동반자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다면 당대표가 스스로 거취를 정하는 게 순리다. 문 정권이 임명한 공공기관장들이 윤 정권 출범 후에도 임기를 주장하며 사퇴를 거부하는 추악함을 반면교사 삼는 게 어떨까 싶다.

최재형 혁신위가 출범했지만, 이준석 대표가 27일 국회 행사에서 말한 것처럼 혁신위는 망하게 돼 있다. 애초부터 ‘혁신’이라 부를 만한 변화라면, 당내 임시기구인 혁신위 차원이 아니라 변화 어젠다를 내세운 당권주자가 전당대회에서 정면 승부해야 한다.

당의 주도권을 놓고 계파 형성에 나선 윤핵관들도 반성해야 한다. 윤 정부 성공을 위해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스스로 가슴 서늘해지는 성찰이 없다면, 그들은 이 정권의 걸림돌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