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하는 최재형 혁신위원장. /연합
발언하는 최재형 혁신위원장. /연합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3일 국회에서 워크숍을 열며 본격적으로 활동을 개시했다.

이날 오후 열린 워크숍에서 최재형 위원장과 조해진 부위원장을 비롯한 15명의 혁신위원은 각자 준비한 혁신 어젠다를 10∼15분간 발표하고 혁신위 운영 방향과 활동 기간 등을 논의했다.

혁신위의 가장 뜨거운 이슈는 바로 공천제도 개혁이다. 공천제도 개혁이 바로 혁신위를 만든 이유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앞서 이준석 대표는 지난 6·1 지방선거에서 충남도의회 비례대표 후보를 공천할 당시 ‘공직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를 치르지 않은 인사를 포함해달라’는 요구가 있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공개적으로 공천개입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최 위원장도 "공천과 관련해서 특정 개인이나 정파의 유불리를 떠나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룰이 있다면 그 정도 선에서 혁신위가 공천을 논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략공천’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공천관리위원회의 개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 공천’을 구축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100% 공천과 관련된 이수는 아니지만 혁신위에서 논의될 ‘동일 지역구 국회의원 3선 초과 연임 금지’안도 결국 공천시스템과 관련된 문제다. 현역 의원이 3번 내리 당선될 정도로 안정적으로 지지기반을 확보한 지역에서는 정치 신인들을 과감하게 공천해 생존확률을 높여주고, 다선 국회의원들은 험지나 접전지역에 공천해 본인의 정치력을 스스로 증명하게 한다는 전략이다.

하지만 혁신위의 공천제도 개혁에는 넘어야 할 산이 여러 개 있다.

무엇보다 공천제도를 다루는 과정에서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당 소속 의원들의 반발을 극복해야 한다는 과제부터가 쉽지 않다. 특히 당내 주도권을 쥐고 있는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은 이 대표가 ‘자기 정치’를 위해 혁신위를 활용하려는 것 아니냐는 강한 의심의 눈길을 보내왔다. 친윤 주축 다선 의원들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본인의 지지 기반인 젊은이들을 밀어주기 위해 혁신위를 이용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배현진 최고위원은 지난달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대표에게 "혁신위가 자잘한 사조직으로 오해받을 수 있다. 어느 국회의원이 참여하려고 나서겠느냐"며 반발한 바 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시절 특보를 지낸 김정재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이 대표가 혁신위원 5명을 지명했다고 얘기했다가 이튿날 "착오로 인해 잘못된 발언"이라며 정정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오는 7일 당 윤리위 징계 심의를 앞두고 이 대표의 리더십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혁신위 활동이 힘을 받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이와 관련, 최 위원장은 "혁신위는 최고위에서 공식적으로 출범한 기구로 당 대표의 거취와 관계없이 그대로 갈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 대표의 거취에 따라 혁신위 동력이 크게 좌우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