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초롬
함초롬

필자는 출판사를 창업하기 전, 왕가위 감독의 영화들을 배급하는 영화사에서 근무했다. 그 인연으로 왕가위 감독의 작품세계 30주년을 기념하는 <왕가위의 시간>이라는 책의 출간을 앞두고 있다.

왕가위 영화들이 1990년대 홍콩이라는 시대적 맥락에 비추어 해석되는 이유는, 1997년 이전의 문화적·정치적 불안을 겪었던 홍콩과 1997년 이후 중국에 반환된 홍콩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아비정전>과 <해피 투게더>에서 1997년 이전의 시대가 ‘세기말’로 묘사되며 홍콩 반환을 앞둔 불안감의 정서를 드러낸다면, <2046>은 1997년 이후의 불확실한 홍콩의 미래를 묘사한다. 중국에 반환된 홍콩이 1국 2체제를 유지하는 기간이 2046년까지라고 한다. <화양연화> 속 양조위의 호텔 방도 2046호다.

왕가위는 액션이나 무협으로 대표되는 홍콩영화들의 장르적 한계 역시 넘어선다. 이는 그의 영화들이 본질적으로는 홍콩 영화의 계보를 잇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누엘 푸익이나 훌리오 코르타사르, 무라카미 하루키, 그리고 홍콩의 김용이나 류이창 등의 작가들로부터 문학적 소재들을 차용해 이를 빛과 카메라의 움직임 등의 순수한 영화적인 이미지로 구현해내기 때문이다.

최근 책의 출간을 앞두고 중국문화원과 중국대사관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해왔다. 홍콩을 ‘중국홍콩특구’로 반드시 표기할 것, 그리고 ‘왕가위는 홍콩의 지리적, 역사적 독립을 염원하는 필름메이커의 세대에 포함된다’와 같은 문장이 정치적 갈등을 일으킬 수 있으니 삭제할 것 등이다.

사람들이 추억하는 홍콩의 마지막 자유는 어쩌면 이제 왕가위 감독의 영화들에만 존재하는지도 모르겠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