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노출 파문 권대행, 최고위원 줄사퇴에 “역할 내려놓겠다”
비대위 체제 전환 가시화...이준석 대표는 복귀 가능성 희박
비대위원장은 ‘尹心 범위 내 중립인사’ 유력...정진석 등 거론

국민의힘 배현진 조수진 최고위원 등 최고위원들의 연속 사퇴로 집권 여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속도가 붙고 있는 가운데 휴일인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원내대표실의 문이 닫혀 있다. /연합
국민의힘 배현진 조수진 최고위원 등 최고위원들의 연속 사퇴로 집권 여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속도가 붙고 있는 가운데 휴일인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국민의힘 원내대표실의 문이 닫혀 있다. /연합

권성동 국민의힘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31일 당 대표 직무대행 역할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히며 국민의힘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의 전환이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은 조기전대를 열어 새 지도부를 구성하는 방향으로 급물살을 타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이른바 ‘尹心’은 조기 전대를 통해 당의 새지도부를 선출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비대위 체제로 가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돼 버렸다"며 "친이준석계가 버틴다고 해도 명분이 없어졌다"고 했다. 그는 "이번 주 안으로 권 원내대표가 비대위 체제로 전환해, 그와 관련한 전국위를 소집하고 비대위원장 선출까지 빠르면 이번 주 늦어도 광복절까진 비대위를 출범시킨다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

권 대행의 이번 사퇴는 당정관계를 조속히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尹心’이 반영된 것으로 평가된다. 권 대행이 계속해서 구설수에 휘말리며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은 당정관계에 있어서 윤 대통령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무엇보다 당원권 정지 기간이 끝나면 대표직에 복귀하게 될 이준석 대표 문제도 있다.

이미 여러 차례 윤 대통령과 마찰을 빚었던 이 대표의 당원권 정지가 풀리면 다시 윤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우게 될 가능성이 높다. 임기 초반 정책 드라이브를 걸어야 할 시점에서 또 다시 당정관계에 발목을 잡히게 되는 셈이다.

현재 국민의힘 당헌·당규는 당대표 궐위와 최고위 기능상실을 비대위 출범 조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권 원내대표와 배현진·조수진·윤영석 최고위원 사퇴로 9명의 최고위원 중 6명(이준석·권성동·김재원·배현진·조수진·윤영석)이 부재하면서 최고위 의결정족수인 ‘과반’이 무너졌다. 이에 따라 최고위 기능이 상실한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당헌당규에 따라 비대위원장을 선출하려면 전국위원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권 원내대표는 이번 주 비대위 체제를 발표하고, 비대위원장이 상임전국위를 거쳐 비대위원을 임명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원장으로는 5선의 정진석 국회부의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권성동 의원이 이른바 윤핵관이란 상징성이 부각돼 왔기 때문에 계파 색채가 덜 드러나는 사람부터 찾아야 한다"면서 "당을 안정화시키려면 의원들이 원하는 인물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대위 체제는 길게 가지 않아야 한다는 게 당내의 공통된 의견이다. 당 관계자는 "9~10월 전당대회를 열어야 하기 때문에 길어야 한달 반 정도 비대위 체제가 유지된다. 비대위원장에게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역할만 있지, 전권이 있는 게 아니다"라며 당내 중진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쪽에 힘이 실리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조기전대는 쉽지만은 않다. 성상납 문제로 조사를 받고 있는 이준석 대표의 기소 여부가 8월 중으로는 정해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 대표가 기소된다면 자연스레 대표 궐위로 조기 전대가 가능하다. 반대의 경우 최고위원들이 전원 사퇴하지 않는 이상 전대 자체가 불가능하도 보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이 확정되면서 이준석 대표의 복귀 가능성은 희박해지고 있다. 일정 기간 비대위 체제로 당을 운영한 후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새 당 대표를 선출하라는 것이 당 내 친윤계들의 요구다. 이 대표의 당원권 정지기간 중 조기 전당대회가 열린다면 이 대표는 출마조차 할 수 없게 된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