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재유행 여파로 조제용 감기약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제약사는 원자재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일부 감기약에 한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사진은 지난 4월 서울의 한 약국. /연합
코로나19 재유행 여파로 조제용 감기약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제약사는 원자재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일부 감기약에 한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사진은 지난 4월 서울의 한 약국. /연합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라 일부 조제용 감기약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제약사들은 원자재가격 상승을 이유로 조용히 가격 인상도 단행했다.

7일 대한약사회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주간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비교해 감기약 공급량이 충분하다고 밝힌 것과 달리 현장에서는 여전히 감기약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짓는 전문의약품 중심으로 품절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한약사회는 회원들에게 "해열제, 소염진통제 등 감기약 관련 일부 의약품 품절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정부 차원에서 의약품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의료계는 처방일수를 조정하는 등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러한 정부와 일선 현장의 시각차는 식약처가 감기약 수급 현황에 따른 치료 가능 환자 수를 계산할 때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을 따로 구분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다. 현재 수급난에 시달리는 품목은 조제에 사용하는 전문의약품인데 식약처의 계산 방식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 식약처는 해열 진통제·기침 가래약 등 1159개의 감기약 전체 품목에 대한 수급량을 주간 생산량·주간 출하량 등을 기준으로 파악, 환자 1명당 치료제 복용량으로 나눠 치료 가능 환자 수를 산출한다. 고형제의 경우 13세 이상 환자가 일주일간 하루 3회, 1회 1.5정씩 복용한다고 가정하고 1인당 복용량과 치료 가능 환자 수를 계산한다.

이에 8일부터 시행된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이 식약처가 제시한 해법이다. 이 시스템은 식약처가 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의약품유통협회 등과 함께 제약사가 보유한 감기약의 공급 가능 여부를 빠르게 파악해 일선 현장인 약국에 알리는 제도다.

전문가들은 이 시스템이 다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근본적 원인이 먼저 해결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원활한 원료 수급의 지원과 의약품 사재기 금지 고시 등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제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감기약을 많이 생산해 팔았던 제약사가 연동제로 장기적인 손해를 보면 팬데믹이 다시 발생해 약이 긴급하게 필요할 때 열심히 생산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코로나로 처방이 늘어난 해열진통제, 호흡기 치료제, 항생제, 위장관 치료제 등에 대해서는 제도를 유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재유행 속 주요 감기약 가격도 오르고 있다. 이미 쌍화탕, 판피린 등의 가격 인상이 확정된 가운데 대원제약도 짜 먹는 감기약 콜대원의 가격을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제약사가 공급가를 올리면서 약국에서 판매하는 가격도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