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의 입사지원서 문제로 논란에 휩싸인 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21일 사의를 표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김 수석의 사의를 즉시 수용했다. 사진은 지난 3월 4일 김진국 민정수석이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브리핑에 앞서 인사하는 모습. /연합
아들의 입사지원서 문제로 논란에 휩싸인 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21일 사의를 표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김 수석의 사의를 즉시 수용했다. 사진은 지난 3월 4일 김진국 민정수석이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브리핑에 앞서 인사하는 모습. /연합

청와대 민정수석 자리는 과연 ‘독이 든 성배’일까. 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아들의 입사지원서 논란이 불거진 지 하루 만인 21일 전격 사퇴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김 수석의 사의를 곧바로 수용하면서 사퇴는 속전속결로 진행됐다.

청와대가 김 수석의 거취에 대해 빠른 결단을 내린 것은, 김 수석이 얽힌 문제가 내년 대선을 앞두고 국민들이 민감하게 여기는 공정성 이슈와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날 사퇴로 김 수석은 지난 3월 임명된 지 9개월 만에 청와대를 떠나게 됐다. 그동안 문재인 정부 청와대 민정수석 자리는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이로 인해 민정수석들이 조기에 사퇴하는 일이 반복되며 청와대의 공직기강이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왔다.

문재인 정부 초대 민정수석인 조국 전 수석은 2년 2개월 동안 자리를 지켰지만, 후임인 김조원 전 수석은 2주택 보유로 입길에 오르며 1년여 만에 교체됐다.

그 뒤를 이어 임명된 김종호 전 수석과 신현수 전 수석 역시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의 갈등 국면에서 각각 4개월·2개월 동안만 자리를 지켰다.

김 수석이 사퇴함으로서 이번 정부 들어서만 6번째 민정수석이 임명될 전망이다. 민정수석비서관제도가 도입된 1999년 김대중 정부 이후, 가장 많은 사람이 민정수석을 거쳐간 정부였던 박근혜 정부와 같은 숫자다.

가장 적은 사람이 민정수석을 거친 정권은 4명이 거쳐간 김대중 정부와 이명박 정부였다.

취업준비생인 김 수석의 아들은 최근 여러 기업에 낸 입사지원서에 ‘민정수석인 아버지가 (회사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내용을 써냈다. 또한 아들이 이력서에 기재한 학력도 허위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3월 용인대 격기지도학과를 졸업했다고 썼지만, 해당 학과를 졸업하지 못한 채 다른 대학으로 옮겼다가 자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사실이 전날 보도를 통해 알려지자 정치권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부적절한 처신’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특히 김 수석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5년 당시 민정수석실 법무비서관으로 근무한 이력이 있어 민정수석실 업무가 처음인 것도 아니다.

민정수석은 청와대의 여러 비서관 중에서도 법무와 민원을 담당하는 자리인만큼 정권의 ‘실세’로 꼽힌다. 권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인사(人事)권과 사정(司正)권을 둘 다 행사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김 수석이 오늘 아침 출근하자마자 사의를 표했다"며 "문 대통령도 사의를 즉각 수용했다"고 설명했다. 대신 이 관계자는 "김 수석이 아들의 입사지원서 작성에 개입하지 않은 것은 확실하다"고 강조했다.

아들의 부적절한 입사지원서 작성이 문제되자 김 수석 역시 전날 "아들이 불안과 강박 증세 등으로 치료를 받아왔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또 이날 "국민을 섬기는 공직자는 적어도 가족과 관련해 한점의 오해나 의혹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며 "조금이라도 부끄러운 점이 있다면 당연히 책임을 지는 것이 도리라고 여겼다. 그래서 저는 떠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