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구자라트 주의 원유 정제소.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은 지2월 하루 10만배럴에서 4월 하루 37만배럴, 5월 하루 87만배럴로 증가했다. 인도·러시아 양국이 서로 결제시스템을 상호수용할 가능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의 결제 시스템 ‘미르’(MIR)가 조만간 인도의 자동입출금기(ATM)와 판매시점관리시스템(POS)에서 승인될 것"이란 보도도 나왔다. /AP=연합
인도 구자라트 주의 원유 정제소.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은 지2월 하루 10만배럴에서 4월 하루 37만배럴, 5월 하루 87만배럴로 증가했다. 인도·러시아 양국이 서로 결제시스템을 상호수용할 가능성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의 결제 시스템 ‘미르’(MIR)가 조만간 인도의 자동입출금기(ATM)와 판매시점관리시스템(POS)에서 승인될 것"이란 보도도 나왔다. /AP=연합

러시아가 아시아 국가들에 석유 장기계약을 조건으로 공급가를 최대 30% 할인해주겠다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러시아 석유를 구매할 경우 미국을 비롯한 서방의 제재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달 초 튀르키예가 러시아와 경제관계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밝히자 서구 국가들이 제재를 경고한 바 있다. 24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익명의 서방 당국자는 "주요 7개국(G7)의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 도입’을 저지할 목적일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럽연합(EU)의 금수조치 때문에 러시아는 유럽으로 수출하던 물량을 대신 소화해 줄 고객이 필요해졌다. 러시아가 할인가격을 제안한 아시아 국가들 명단이 공개되지 않은 가운데, 산디아가 우노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 장관이 최근 인스타그램에 관련 게시물을 올렸다. "러시아가 국제시장가격보다 30% 저가로 원유를 팔겠다고 제안해 왔다." 이어 우노 장관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검토했으나 "의견 불일치가 있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원유 수입시) 미국의 제재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12월 5일부터 EU의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전면 금수조치가 단행된다. 이에 맞춰 G7(미국·영국·독일·프랑스·이탈리아·일본·캐나다)은 ‘가격 상한’ 방안을 추진해 왔다. 러시아산 원유 수입금지가 오히려 국제유가를 급등시켜 물량이 줄어도 러시아의 수익은 오히려 늘어날 수 있다. 이런 사태를 막으려는 계산이다.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주요 원유 수입국이 동참하지 않으면, 가격상한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란 회의론도 존재한다.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 도입을 공식 지지한 아시아 국가는 아직 없다. 특히 인도가 동참을 꺼린다. 서방의 제재 후 중국·인도는 오히려 러시아산 석유를 할인된 가격에 대량 수입하고 있다. 인도결제공사(National Payment Corporation of India)의 UPI(Unified Payments Interface)와 러시아 중앙은행(Bank of Russia)의 FPS(Faster Payments System), 두 나라 송금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위해 양국이 논의 중이다. 러시아의 결제시스템 ‘미르’(MIR)가 인도 내에서 사용 가능해지면, 인도인들은 러시아에서 자국 카드 결제시스템 ‘루페이’(RuPay)를 쓸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한국의 경우 서방 제재 이후 러시아산 화석연료 17억 달러(약 2조2700억 원) 어치를 사들였다는 추정이 나왔다. 22일 핀란드의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래 약 5개월간(2월 24일~7월말) 추적 조사한 결과, 한국은 러시아산 화석연료를 각각 석탄 6억5600만 달러, 액화천연가스(LNG) 2억400만 달러, 원유 8억8900만 달러 어치 수입했다. 전체 수입량이 서서히 줄었고, 특히 석탄 수입은 7월 들어 전월 대비 58%나 감소했다. "한국정부가 서방의 방침에 부응한 결과일 것"이라고 CREA는 풀이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