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이 대수술에 나서고 있다. 전체 직원 420여 명 중 20%인 80여 명을 집중 점검하고 있다고 한다. 교체 검토 대상은 업무 능력에 문제가 있거나 비위 의혹이 제기된 비서관급 이하 직원들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문제 직원들에 대해 ‘무관용’ 방침을 세웠다고 한다.

지금 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정무 및 시민사회 영역이다. 정치 경험이 짧은 대통령을 보좌하기 위해서는 정무 보좌 역량이 탁월해야 한다. 이진복 현 정무수석은 3선 국회의원 출신이다. 경력에 맞는,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내부 조직 수습은 당연한 전제 조건이다.

정말 우려스러운 것은 시민사회 영역이다. 대통령실은 인사위원회까지 열고 문건 유출 책임을 물어 임헌조 시민소통비서관 면직을 의결했다. 임 비서관이 징계에 불복해 반발했다는 소문을 확인해준 것이다.

대통령실은 업무에 무한책임을 진다. 업무 강도도 일반 직장과 차원이 다르다. 자기 영역에 문제가 생기면 책임지고 사퇴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도 사퇴를 거부해 인사위원회까지 열어야 했다는 것은 시민사회수석실의 기강을 의심케 하는 사태다.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은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대통령실 조직을 구성할 때부터 논란이 적지 않았다. 대선에서 승리하면 캠프 출신들이 대통령실이나 내각의 핵심에 포진하는 것이 상식이다. 하지만 대통령은 ‘어공’(어쩌다 공무원)들보다 엘리트 ‘늘공’(직업 공무원) 위주로 대통령실을 구성하려고 했다. 현재 주로 문제가 되는 것도 정치권 출신 어공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시민사회 영역은 직업 공무원이 아닌, 시민사회 운동권 중심으로 구성할 수밖에 없다. 강승규 수석의 경우 기자와 정치인, 기업인 경력이 대부분이다. 시민사회 영역이 낯설고 조직 장악에도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좌파와 달리 우파 시민사회 영역은 뿌리가 깊지 못하고 인재풀도 좁다. 하지만 시민사회 영역은 소홀히 할 수 없다. 시민사회 정상화가 대한민국의 필수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핵심은 누구의 조언을 받느냐 하는 것이다. 여기저기 얼굴 내밀면서 자리 챙기기에 주력했던 거간꾼보다 빛나지 않은 자리에서 성실하게 자기 몫을 다했던, 소신과 실력을 갖춘 인사를 찾아야 한다. 건강한 우파 시민사회와의 소통 구조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