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상모
연상모

올해 8월, 9월에 필자는 미국과 캐나다, 홍콩을 다녀왔다. 이들 국가에 갔을 때 개인적으로 관심이 간 것은 코로나 방역에 대한 상반된 정책이다.

미국·캐나다는 공항에서 입국하는 사람들에게 과거 백신을 2회 이상 접종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서류만 요구했다. 홍콩은 달랐다. 우선 입국 전 한국 내 지정된 병원에서 한 PCR 테스트 결과를 요구했다. 입국 후에는 지정된 호텔에서 수일 간 격리됐다. 이후 매일 자가진단 테스트기로 확진 여부를 확인해야 하고, 정부가 지정한 검사시설에 가서 세 차례 확인해야 했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벌금을 내야 한다. 중국대륙의 방역조치는 홍콩보다 더 심하다.

중국과 홍콩의 방역조치는 아무리 좋게 해석하려 해도 너무 과하다. 중국의 방역조치는 최근 국제적으로도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8월 25일 필리핀에서 개최된 아시안컵 여자배구대회에서 중국 대표팀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시합에 나섰다. 중국 내에서도 ‘누가 마스크를 씌웠냐’면서 과도한 방역에 비난이 쏟아졌다.

비난을 받으면서도, 중국은 왜 이렇게 강력한 코로나 방역정책을 고집하고 있는가? 이에 대한 대답으로 우선 시진핑 주석의 국내 정치적 의도가 지적된다. 중국 정부는 2020년 초 우한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생했을 때부터 강력한 봉쇄정책을 채택했다. 코로나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있다고 선전해 왔다. 시진핑 주석은 이를 자신의 위대한 치적으로 삼고 있다. 때문에 10월에 개최되는 제20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3연임을 확정하기 전까지는 제로 코로나정책을 고수할 것이다. 적어도 10월까지는 중국의 강력한 코로나 방역은 유지될 것이다.

그렇다면 10월 이후 중국의 방역조치는 대폭 완화될 것인가? 이를 단순히 시진핑의 3연임에만 연결시키는 것이 맞는가? 대답은 쉽지 않다.

중국이 취하고 있는 강력한 방역조치는 최근 미중 신냉전과 연결해 해석할 수 있다. ‘시진핑의 중국’이 자기의 방식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 내막을 분석해 보자. 첫째, 2020년 중반 중국 내 코로나 확산이 잦아드는 시점에 서양 각국에서는 코로나가 확대됐다. 중국 정부는 중국식 사회주의체제가 서양국가의 민주체제보다 훨씬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둘째, 시진핑은 미중 신냉전에서 미국에게 약한 모습을 보일 생각이 없다. 중국은 경제 및 대만문제와 관련해 미국과 맞서고 있다. 코로나 대처법에서도 중국은 ‘미국과는 다른 길’을 감으로써, 앞으로 미국에 굴복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려 한다. 이러한 시진핑 생각은 앞으로 중국과 서방 간 간격을 더욱 크게 만들 것이다.

하지만 극단적인 제로 코로나정책과 경직된 사회주의 경제정책으로 인해 중국 경제가 상당히 악화되고 있다. 1989년 천안문사태 이후 최대의 경제위기를 맞고 있다는 평가마저 나오고 있다. 또 중국 지식인과 국민들이 이례적으로 정부에 대해 불만을 공개적으로 표출하는 등, 민심이반이 심각하다.

이렇게 어려운 상황에서 시진핑은 자신의 생각을 계속 고수할 수 있을까? 중국 내 많은 지식인들은 시진핑 생각이 바뀔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고 있다. 결국 시진핑의 생각은 시진핑 체제의 경직성을 초래하고, 중국을 국내 정치와 대외정책에서 막다른 골목으로 몰아갈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견제받지 않는 시진핑의 권력은 중국을 넘어 전 세계에 어떤 결과를 몰고 올 것인가? 세계의 시각이 곤두서 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