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해외 순방 발언에 근거 없는 자막 넣어 여론 호도
지난 대선 땐 김건희 여사 ‘쥴리’ 집요하게 조작 보도
‘광우병 괴담’ 확산하며 정권퇴진 시위 촉발한 전력도

MBC는 지난 22일 윤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만난 직후 “(미국) 국회에서 이 ××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나?”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9월 22일 낮 뉴스부터 저녁 뉴스까지 자막까지 붙여가며 모든 뉴스 편성에 빼놓지 않고 보도했다. /mbc 화면캡처
MBC는 지난 22일 윤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만난 직후 “(미국) 국회에서 이 ××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나?”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9월 22일 낮 뉴스부터 저녁 뉴스까지 자막까지 붙여가며 모든 뉴스 편성에 빼놓지 않고 보도했다. /mbc 화면캡처

민노총 소속 언론노조가 장악한 방송사들이 공영방송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게 가짜뉴스 살포에 앞장서며 언론 전체의 신뢰도를 추락시키고 있다.특히 MBC는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주 뉴욕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실언’을 했다고 단정적으로 보도하며 ‘외교문제로 비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성급한 결론까지 내놓았다.

MBC는 지난 22일 뉴스방송을 통해 윤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만난 직후 "(미국)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바이든이 쪽팔려서 어떡하냐?"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9월 22일 낮뉴스부터 저녁 뉴스까지 자막까지 붙여가며 모든 뉴스 편성에 빼놓지않고 보도했다.

그러나 MBC의 이같은 보도는 사실이 아니었다. 대통령실에서도 윤 대통령의 해당 발언을 "(한국 야당이) 승인 안 해주고 날리면"이었다고 해명했다.

해당 화면은 음성이 불명확했다. 만약 MBC가 자막을 넣지 않고 음성만 내보냈다면 윤 대통령이 무슨 얘기를 했는지 확인하기조차도 어려울 정도였다. 귀를 기울여 들어보면 연결어미가 "승인 안 해주면"인지 "승인 안 해주고"인지 어렴풋이 확인할 수 있을 정도였다. 만약 "승인 안 해주고"라면 문맥상 뒤에 "바이든"이 올 수 없다. 또 윤 대통령의 해당 발언 뒤에는 동석했던 박진 외교부 장관이 "야당을 잘 설득해 예산을 통과시키겠다"고 대답했다. 애초에 우리나라 국회와 관련된 발언이었음을 충분히 유추할 수 있었고 미국이나 바이든 대통령과는 상관이 없는 발언인 셈이다. 그럼에도 MBC는 박 장관의 대답 부분은 아예 보도하지도 않았다. 그리고 윤 대통령이 말하지도 않은 ‘미국’을 굳이 자막까지 넣어가며 강조했다.

이는 명백히 악의가 들어간 조작 방송이었다. 이런 내용들이 밝혀지고 있음에도 MBC는 사과는 커녕 정부를 공격하고 있다. 23일 MBC 뉴스데스크에서 이기주 기자는 "대통령실 해명이 논란의 화살을 우리나라 야당에게로 돌렸다는 새로운 논란을 낳고 있다"며 또다른 공세를 펼쳤다. 성장경 앵커는 "저급한 거짓 해명", 유충환 기자는 "국민들의 청력을 시험하는 거짓 해명"이라는 민주당 반응을 인용했다. 김재경 기자는 "(발언의 진실에 대한) 판단은 국민들의 몫"이라면서, "윤 대통령의 부적절한 발언 때문에 하지 않아도 되는 소모적인 논란을 겪고 있다"고 뒤집어 씌웠다.

MBC의 조작방송 논란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명박 정부 당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를 놓고 MBC ‘PD수첩’의 조작방송은 ‘광우병 괴담’을 확산시키며 대규모 정권퇴진 시위를 촉발시켰다. 해당 프로그램을 제작한 김보슬 PD는 미국 현지 취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지의 인터뷰 발언과는 전혀 다른 내용을 방송 자막에 넣었다. 제작 책임자였던 조능희 PD는 광우병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 환자일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미국 최초의 인간광우병(vCJD)환자라고 단정적으로 보도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사람이 쇠고기를 먹고 광우병에 걸린 사례는 없다. 그저 이명박 정부를 공격하기 위해 조작된 방송일 뿐이었다.

지난 대선 국면에서 윤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과거 ‘쥴리’라는 예명을 사용하는 접대부였을 가능성이 있다고 집요하게 보도한 것도 MBC였다. 또 MBC는 올해 초 ‘스트레이트’ 프로그램을 통해 이명수 ‘서울의 소리’ 기자가 김 여사와 통화한 녹취록을 공개하기도 했다. 녹취록은 모두 7시간 분량이었지만 MBC는 의도적으로 김 여사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만한 내용만 짜집기 해 보도했다. 그러나 이 방송이 나간 후 오히려 김 여사에 대한 호의적 여론이 높아지자 MBC는 예고된 후속방송을 부랴부랴 취소했다.

왜 MBC는 공영방송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조작방송을 일삼는 것일까. 근본적인 원인은 MBC 특유의 비정상적인 지배구조에 있다. MBC의 소유 및 운영 주체는 ‘방송문화진흥회’로 그 성격 자체는 공적기관이다. 하지만 회사의 주된 운영 재원을 광고를 통해 얻는 민영방송의 성격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재정구조로는 민영방송에 가깝다보니 공익성을 내세우면서도 다른 공영방송인 KBS·EBS와 달리 감시체계가 느슨하다. 하지만 기본 성격은 공영방송이다보니 경영실적에 대한 평가에서도 자유롭다. 공익성에 대한 책임을 물을 때는 ‘민영방송’이고 경영실적 책임을 물을 때는 ‘공영방송’으로 카멜레온처럼 성격을 바꾸는 것이다.

그래서 이런 비정상적 구조를 타파하기 위한 해답은 MBC의 완전 민영화밖에 없다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박준식 자유언론국민연합 사무총장은 25일 "무책임하게 조작과 날조를 일삼는 언론은 과감하게 시청자와 언론시장의 평가를 받게 해야 한다. 민노총 언론노조에 장악돼 있는 MBC는 국민의 방송으로 거듭나기 위해서 민영화해서 시장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인환 바른사회시민회의 공동 대표도 "MBC가 국민을 위한 방송이 되길 거부한다면 폐업만이 답"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