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정부는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생산 규모를 330만대로 늘려 세계시장 점유율을 5%에서 12%로 확대하기로 하는 내용의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
28일 정부는 2030년까지 글로벌 전기차 생산 규모를 330만대로 늘려 세계시장 점유율을 5%에서 12%로 확대하기로 하는 내용의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자동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7500달러(1000만원) 상당의 보조금이 끊기게 되면서 하루아침에 가격 경쟁력을 상실한 국내 전기차 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에 정부가 2030년까지 총 95조원을 투입해 우리나라 전기차 산업을 글로벌 3강으로 키우겠다고 전격 선언하면서 인플레이션 감축법 대응에 나섰다.

정부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자동차 산업 글로벌 3강 전략’을 발표했다. 2030년까지 전기차 330만대를 생산해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을 12%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담대한 구상이다. 이를 위해 전기차 전문인력 3만명을 육성하고 현재 95조원으로 책정된 예산을 필요에 따라 더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반도체와 과학법 등을 잇달아 발표하며 전기차, 반도체 등 첨단 제품의 ‘자국 생산’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의 이 같은 조치는 첨단 제품의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을 축출하고 자국 경제를 부흥시키겠다는 의도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해 글로벌 자동차 업체에는 악재로 작용하면서 대책 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된 전기차 지원책으로 우리 전기차 업계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정부는 국내 자동차 산업을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전동화 글로벌 탑티어 도약 △유연한 전기차 생태계로의 전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 △자율주행 및 모빌리티 신산업 창출 등 4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2030년까지 정부는 전기차 톱티어 도약을 위해 지난해 기준 25만4000대 수준인 전기차 생산 대수를 330만대로 끌어올려 현재 5%인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12%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우선 2026년까지 전기차 경쟁력의 핵심인 소프트웨어·반도체 분야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운영체제(OS), 무선업데이트(OTA) 등 차량용 핵심 소프트웨어를 모두 국산화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 224억원 규모의 전기차 인력양성 사업 예산을 확대·개편해 2030년까지 전기차 업체 수요 중심의 소프트웨어 융합인력 1만명을 육성한다. 아울러 전기차 업체·개발자·정부 3자 간 ‘오픈 이노베이션’ 사업을 추진해 차량용 소프트웨어 전문업체 300곳을 발굴할 계획이다.

정부는 국내 자동차 생태계를 내연기관차 중심에서 전기차로 유연하게 전환될 수 있도록 내연기관차 부품업체의 사업 다각화를 지원하고 내연기관차의 고도화도 동시에 추진한다. 아울러 안정적인 전기차 부품 공급망 구축을 위해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요건을 충족하는 배터리를 조기 확보하고 미국 현지 자동차 생산도 앞당긴다는 방침이다. 희토영구자석·실리콘고무·와이어링하네스 등 대외 의존도가 높은 부품을 등급별로 관리하고, 주요 원자재의 정부 비축을 확대하기로 했다. 와이어링하네스는 자동차 내에 무수히 많은 전기 장치들을 연결하는 부품이다.

이어 정부는 대형모터·초고속베어링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의 기술 자립화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을 현재 70%에서 2025년 90% 이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자율주행 핵심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2024년까지 자율주행 부품 상용화 종합연구단지를 구축하고, 자율주행 개발을 지연시키는 각종 규제를 제거·완화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 ‘친환경 모빌리티 규제혁신 로드맵 2.0’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