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세가 빠른 속도로 둔화하는 등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의 전제조건들이 급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연합
물가 상승세가 빠른 속도로 둔화하는 등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의 전제조건들이 급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연합

최근 실물경기의 하강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물가와 환율은 고점에서 속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의 전제조건들이 급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금리 인상의 속도조절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0월 전(全)산업생산지수는 전월보다 1.5% 감소, 지난 2020년 4월의 -1.8% 이후 3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2020년 4월은 코로나19 사태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 모르는 공포에 휩싸여 실물경기가 급락하던 시기다. 현재의 실물경기 하강 폭이 그때만큼 심각하다는 의미다.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은 지난 11월 기준으로 1년 전 대비 14.0% 급감했다. 주력 품목인 반도체가 30%가량 감소한 것이 결정적인 타격을 입혔다. 내수에도 10월을 기점으로 적신호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서비스업 생산이 0.8% 줄면서 2020년 12월의 -1.0% 이후 2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도 0.2% 하락했다.

반면 물가 상승세는 빠른 속도로 둔화하고 있다.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0%를 기록, 한 달 전보다 0.7%포인트 낮아졌다. 5.0%라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다고 볼 수는 없지만 지난 7월 6.3%를 기록한 이후 10월 한 달을 제외하면 물가 상승세는 점차 꺾여가는 추세로 볼 수 있다.

미국의 물가 상승률 둔화, 이에 따른 기준금리 인상 속도의 감속 기대감으로 원·달러 환율도 1300원선 아래로 내려온 상태다. 10월 한때 1444원까지 치솟았던 환율이 1300원선 밑으로 내려온 것은 지난 8월 5일의 1298.3원 이후 약 4개월 만이다.

이 때문에 한국은행 통화정책의 기본 전제조건도 빠르게 변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그동안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이 됐던 미국의 고강도 통화긴축, 물가, 환율 등 주요 변수가 줄줄이 바뀌고 있다는 것이다. 국책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도 금리 인상 속도의 조절을 이야기할 시점으로 접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