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국내외 52개 북한인권 NGO들이 함께 모여 북한인권민간단체협의회(북인협)를 창립했다. 북인협은 최초로 ‘북한인권단체들의 플랫폼’을 표방한 협의체다. 이 플랫폼 협의체는 참여 회원이 개인이 아니라 각 단체들이 회원이다. 이 협의체가 앞으로 할 일은 3가지 정도로 예상된다.

첫째, 개별 북한인권단체들의 북한인권개선활동을 지원하는 것이다. 개별 단체들끼리 모여 정보 공유를 하고 네트워킹 하면서 혼자 힘으로는 하기 어려운 일을 연대 활동으로 풀어간다는 것이다. 북한인권 NGO들은 대부분 인력, 재정 상태가 안 좋은 편이다. 이 때문에 이번 플랫폼 협의체의 등장을 크게 반기고 있다.

둘째, 민·관 거버넌스 구축과 정부의 협의 파트너로서 민·관 협의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도 인권의 출발은 관권(官權)이 아니라 ‘민권(民權)’이었다. 따라서 북한인권 정책을 민간과 정부가 함께 논의하고 추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대북 인도지원을 담당하는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북민협)는 지난 1999년에 출범해 지금까지 민·관 협의체 역할을 해왔다. 통일부와 정기적으로 협의회를 개최해왔다. 특정 이슈가 생기면 수시로 협의한다. 북한인권민간단체협의회 출범이 오히려 많이 늦었다. 지금부터라도 북한인권 민·관협의체가 활발히 가동돼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적 연대·협력이다. 북한인권문제는 이미 유엔을 비롯한 세계화된 이슈다. 유엔 국제인권기구와 미국·일본·유럽 등 세계 인권단체들과의 연대가 더 활발해져야 한다. 지금 국제질서는 한마디로 ‘격변의 시대’다. 최근 한미일 캠프 데이비드 3국 정상회의는 향후 동북아시아 에 엄청난 변화를 예고한다. 동북아에 자유냐 독재냐, 인권이냐 반인권이냐가 더욱 선명하게 부각될 것이다.

현재 중국 내 구금시설에 있는 탈북민이 대략 2000~2600명 정도로 추산된다. 코로나로 3년 6개월간 봉쇄된 북-중 국경이 다시 열리면서 탈북민들도 강제북송될 위기에 처했다. 한·미·일 정부와 민간단체들은 연대와 협력의 힘으로 이 문제를 풀어가야 할 것이다. ‘북한인권민간단체협의회’는 적절한 시기에 출범하는 셈이다. 창립을 크게 환영한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