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가 가기 전 대통령실과 내각이 정비되는 모습이다. 30일자로 대통령실 진용은 새로 짜였다. 다음 주 중 내각 개편이 이뤄지면 내년 1월부터 윤석열 정부 2기 체제가 출발할 것으로 보는 것 같다. 대통령실 개편은 수석비서관들 중에서 내년 총선 출마자들이 있어서 전부터 예상돼 왔다. 눈에 띄는 개편은 정책실의 부활이다. 기존의 비서실장(김대기)·안보실장(조태용) 체제에서 정책실을 부활해 이관섭 국정기획수석을 실장으로 앉혔다.

정책실 부활은 윤석열 대통령의 뜻이다. 국정 과제 추진과 민생 경제 정책을 다잡아야 한다는 의중이 드러난다. 내년 총선에서 이기려면 먼저 국정을 쇄신하여 국민의 신뢰를 얻은 후, 결국은 정책으로 승부를 내야 한다는 전략적 결단이 보인다. 이런 방향은 옳다.

이 실장은 행정 관료 출신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주로 근무했다. 청와대에 여러 차례 근무한 경력이 있다. 박근혜 정부 때 산업부 1차관을 거쳐 한국수력원자력 대표를 지내던 중 문재인 정부 때 탈원전 정책에 반대해 사표를 냈다. 관료들 중 ‘영혼’이 있는 편이다.

신임 한오섭 정무수석 등 비서실 개편은 그런대로 무난하다고 봐야 할 것 같다. 다만 시민사회 수석에 황상무 전 KBS 앵커를 앉힌 것은 좀 의아하다. 뚜렷한 시민운동 경력도 없고 좌파가 아닌 자유민주 시민사회 주류에서 활동한 인물도 아니다. 지난번 강승규 시민사회수석이 잘못된 인사였다는 게 시민사회의 중론이었는데, 이번에도 달라진 게 없다. 내년 총선은 사실상 ‘체제 전쟁’이나 다를 바 없다. 있는 그대로의 우리 현실이다. 좌파 진영은 민노총 위원장에 종북세력인 경기동부연합의 양경수가 재선되어 "윤석열을 끌어내리겠다"고 선포했다. 이러한 실정에서 북한 대남사업부와 남한 내 친·종북 세력에 전문지식이 없는 인사를 시민사회 수석으로 발탁한 것은 ‘한가한 인사’ 차원을 넘어 안일하다는 느낌마저 든다.

윤 정부는 그동안 인재풀이 협소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편이다. 따라서 다음 주로 예상되는 내각 개편은 윤 정부가 달라졌다는 신호를 국민에게 확실히 보내줘야 한다. 대통령 국정 운영의 기본은 인사를 통한 국민 신뢰 획득이다. 국민 신뢰를 기초로 정책에서 승부를 내는 것이 불변의 원칙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