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에 열린 북한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에서 김정은은 핵무력을 포함한 모든 물리적 수단과 역량을 동원해 "남조선 전 영토를 평정하기 위한 대사변 준비에 박차를 가해 나가자"고 했다.

새해 첫날에는 인민군 주요 지휘관을 모아 놓고 "적들의 무모한 도발책동으로 인해 언제든지 무력충돌이 생길 수 있다"면서 전투적 과업들을 철저히 집행 관철해 나가자고 우리를 위협했다. 이런 발언은 올해 4월 한국 총선과 11월 미국 대선을 겨냥한 도발 명분 쌓기로 분석되는 가운데, 새해 벽두부터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올해 예상되는 북한의 도발은 7차 핵실험, 위성 추가발사 등이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김정은의 발언 강도를 볼 때 예상을 뛰어넘는 도발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는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한 물리적 도발과 비물리적 도발(사이버 공격)이다.

물리적 도발은 우리로서 직접 대응이 불가피한 사항으로 확전까지 염두에 둬야 하는 형태다. 구체적으로 휴전선상 여러 지역에서 저강도 분쟁을 야기하는 것으로 ① 지상·공중·해상으로 무장공비를 침투시켜 납치·살인·방화·주요시설 파괴 등을 자행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 사회불안을 조성하는 것, ② 방사포·야포 등으로 정전 상 상징적인 지역을 공격해 국제적 이목을 집중시키고 정전협정 파기, 미군 철수 등 정치적 주장을 펼치는 것 등이다. 대상 표적 지역으로는 6·25전쟁 격전지였으나 현재 한국군 통제 하에 있는 백마고지 같은 전승지, 9·19 군사합의에 따라 완전히 폐기했다가 다시 복구가 시작된 비무장지대 내 GP(경계초소), 휴전 후 북한이 지속적으로 분쟁수역화 해 온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의 백령도 등 도서, 적 직접 침투 시 아군 작전이 쉽지 않은 울릉도, 독도 같은 동해 상 고도(孤島)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북한으로서도 이러한 물리적 도발을 선택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반면 사이버 공격은 도발원점을 찾아 즉각 대응하기가 어렵고 피해 또한 물리적 타격 이상의 큰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선택 가능성이 높다. 철저한 대비와 대응으로, 매번 한국의 선거를 혁명의 호기라고 오판해 온 북한에게, 이번이야말로 대남도발은 정권 위기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실히 각인시켜야 한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