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배터리 산업이 연간 ‘100억달러 고지’를 눈앞에 두고 수출 성장세가 꺾이는 듯한 모습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 /LG에너지솔루션
국내 배터리 산업이 연간 ‘100억달러 고지’를 눈앞에 두고 수출 성장세가 꺾이는 듯한 모습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 /LG에너지솔루션

국내 배터리산업이 연간 수출액 100억 달러 달성을 눈앞에 두고 성장세가 꺾였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판매가 줄어든 것에 더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배터리 3사가 미국과 유럽 등지로 생산거점을 이전하면서 수출 감소세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2차전지 수출액은 98억3000만 달러로 전년보다 1.6% 감소했다. 연간 2차전지 수출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지난 2015년 이후 8년 만이다.

우리나라의 2차전지 수출은 지난 2017년 50억 달러 선을 처음 돌파한 후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2022년 99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해 수출이 줄어들며 100억 달러 문턱을 넘지 못하고 상승세가 꺾인 모습이다.

올해 들어 2차전지 수출 약화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추세다. 1월 2차전지 수출은 5억9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2% 감소했다.

정부가 분류하는 15대 주력 수출품 중 반도체를 비롯한 13개 품목이 일제히 상승하며 전반적 수출 회복세가 뚜렷했다. 하지만 무선통신 기기(-14.2%)와 함께 2차전지만 수출이 감소했다.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에서 2차전지가 차지하는 비중도 작아졌다. 이 비중은 지난해 1.6%로 가전(13.1%)보다 높았지만, 지난 1월에는 1.1%로 감소하면서 가전(1.2%)보다 낮아졌다.

이뿐만 아니다. 2차전지 무역수지 흑자도 줄고 있다. 중국산을 중심으로 저가 리튬인산철(LFP) 등 2차전지 수입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9년 58억3000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2차전지 무역수지 흑자는 지난해 9억 달러로 주저앉았다. 이에 우리나라가 가진 ‘배터리 순수출국’으로서의 위상 역시 점차 약해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같은 2차전지 수출 부진에는 단기적으로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한 전기차 수요 둔화라는 경기 요인이 작용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더구나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배터리 3사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 등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해 북미, 유럽 등 해외 생산거점 가동을 본격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다시 말해 해외 배터리 공장 가동 본격화로 현지에서 생산된 물량은 곧장 고객사에 공급되는데, 이는 곧 국내 수출 물량 상당 부분을 대체한다는 의미다. LG에너지솔루션이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법인(JV) 얼티엄셀즈를 세워 지난 2022년 말부터 45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미국 오하이오 1공장을 가동 중인 것이 대표적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