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경제가 이상하다. 전쟁 중인데 경제는 호황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러시아 경제가 지난해 3% 성장한 데 이어 올해도 2.6%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러시아의 국방비는 10조4000억 루블이다. 연방정부 예산(36조6600억 루블)의 30%다. 우크라이나 침공 전인 2021년 국방비는 4조 루블이 채 안 됐다. 전쟁 기간 동안 2배 넘게 불어난 것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방비 비중은 2021년 4%에서 올해 6%로 상승했다. 전쟁을 통해 경제가 성장했다는 결론이다.

통상적으로 전쟁이 일어나면 이익 보는 쪽은 후방 산업기지 역할을 하는 국가다. 우리가 6·25전쟁 중일 때 일본이 득을 봤다. 베트남전쟁 때는 한국이 이익을 챙긴 것과 같다. 그런데 전쟁 중인 당사국이 경제성장을 하고 있다? 이상한 일이 아닌가. 일각에선 ‘군사 케인스주의’(Military Keynesianism)를 언급한다. 경제 성장을 위해 군비 지출을 늘리는 옛날 중공업우선 사회주의 경제이론 중 하나다. 지금 러시아 경제가 그렇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우리에게 불길한 신호다.

2022년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을 때 서방 언론들은 전쟁이 금방 끝날 것으로 봤다. 러시아가 시간을 끌면 미국 등 서방의 제재로 경제가 추락할 것이라는 전망이었다. 그런데 전쟁 2년이 지난 지금 정반대 결과가 됐다. 최근 미국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는 러시아 경제를 ‘탱크를 만들기 시작한 주유소’에 비유했다. 러시아는 석유·천연가스 강국이다. 전쟁 기간 중 러시아산 석유·가스는 중국·인도가 주고객이었다. 두 나라 인구를 합치면 28억이다. 이를 기초로 2년을 버티면서 군수산업을 발전시켜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같은 러시아 내부 경제의 생산-재생산 구조가 어디까지 갈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경제학 이론상 군비 지출로 경제를 계속 성장시킬 수는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경제가 성장했다는 사실이다. 푸틴이 경제에 자신감을 갖게 되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길어질 것이다. 지금 북한 김정은이 포탄과 노무자 수출로 러시아 전쟁 특수를 보고 있다. 게다가 전쟁을 하면 경제가 성장한다는 잘못된 신호가 전달되면 러시아·중국과 협력해 한반도 서해를 국제분쟁 지역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종합적인 대비전략을 세워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