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오전 경남 창원시 두산에너빌리티를 방문해 신한울 3·4호기 원자로와 증기발생기용 주단소재 보관장에서 한국형원전 APR1400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연합

윤석열 대통령이 22일 침체기를 겪고 있는 한국 원전산업에 대해 "더 키워나가야 할 원전 산업이 지금 수년간 어려움에 직면해 아주 안타깝고 지금이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라며 "저와 정부의 고위 관계자들도 원전 세일즈를 위해 백방으로 뛰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경남 창원에 위치한 원전 산업 대표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를 본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가 5년간 바보같은 짓을 안하고 원전 생태계를 더욱 탄탄히 구축했다면 지금은 아마 경쟁자가 없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 원전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안정성을 인정받고 있다. 예산에 맞게 적기에 시공하는 능력, 온타임 온 버짓(On Time On Budget)은 전세계 어느 기업도 흉내낼 수 없는 우리 원전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경쟁력은 하루 아침에 만든 게 아니라 여기 계신 원전기업과 협력업체가 생태계를 수십년에 걸쳐 탄탄히 구축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탈원전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방금 공장을 둘러봤는데 과연 이런 시설을 탈원전을 추진한 관계자들이 이걸 다 보고, 이 지역 산업 생태계와 현장을 둘러봤다면 과연 이런 의사결정을 했을지 의문"이라며 질타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공장을 방문해 건설이 중단돼 있는 신한울 3·4호기 원자로 주단소재, 신호기 6호기 원자로 헤드 등의 설비가 있는 단조 공장을 둘러봤다. 지난 4월 당선인 시절 원전 중소업체인 진영 TBX를 방문, "원전산업을 직접 챙길 것이며 다시 방문하겠다"고 한 약속을 지키는 차원이다.

또한 윤 대통령은 "원전 산업이 어려움에 직면해 아주 안타깝고 지금이라도 바로 잡아야 한다"며 "지금 원전 수출시장의 문이 활짝 열려 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탈원전은 폐기하고 원전산업을 키우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지만, 방향만이 중요한 게 아니라 이를 신속하게 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원전 생태계 거점인 창원의 산업 현장, 공장이 활기를 찾고 여러분이 신나게 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와 관련해 "법적절차와 기준은 준수하되 최대한 시간을 단축해 효율적으로 수행할 것"이라며 "제가 직접 챙기고 미래 원전시장 주도권 경쟁에서 저와 우리 정부 관계자들도 원전 세일즈를 위해 백방으로 뛸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을 대동, 취임 후 첫 원전산업 현장을 방문해 일감 창출과 금융지원 및 시장 확대 방안 등 지원 정책을 발표함으로써 사실상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완전 폐기’를 선언하고 ‘원전산업 복원’의 첫발을 뗀 자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대통령실은 "이번 원전산업 현장 방문은 원전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및 원전 수출을 통해 원전 최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를 실현하는 과정"이라고 의미를 부였다.

이날 원전 협력업체와의 간담회에서 산업부와 중기부는 "원전 협력업체들이 지금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다시 경쟁력을 회복해 원전 최강국 건설의 주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각각 원전산업 협력업체 지원 대책과 원전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원전산업 협력업체 지원방안에는 △올해 원전협력업체에 925억원 규모 긴급 일감 발주 △2025년까지 총 1조 이상 일감 신규 발주 △국가별 맞춤형 수주 전략 지원 및 일감 연속성 강화 △총 3800억원 규모 금융 지원 및 6700억원 규모 기술 투자 등이 담겼다.

원전 중소기업 지원 방안은 △1000억 규모 긴급 자금 공급(정책자금 500억+특례보증 500억) △중진공과 은행 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부실 발생 기업의 경영정상화 지원 △원전 중소기업특화 R&D 신설 및 한수원 협력을 통한 기술혁신 등이다.

이 자리에서 두산에너빌리티도 △협력사 기술 인력 양성 △품질 전문가 파견 △동반성장펀드를 활용한 대출확대 △장기 공급협약 체결 확대 등 협력업체 상생방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