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시티 서울’ 아이디어는 선거용·국가정책용 양면에서 수준급이다. 이 덕분인가. ‘내일 총선을 치른다면 어느 당에 투표할 것이냐’는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33%, 민주당 32%가 나왔다. 강서구청장 선거에서 17%p 차이로 패배한 국민의힘이 언제 그랬냐 싶게 상황을 역전한 모양새다. 윤 대통령 지지율은 40%에 육박하기 시작했다.

선거용 정책은 ‘냄비 효과’가 강하다. 순식간에 끓어오른다. 반면 산이 높으면 골이 깊듯 정책의 허상이 드러나면 급전직하 한다.

메가 서울 성공법은 계산 자체가 복잡한 건 아니다. 지난 1일자 사설에서도 언급했다시피, 메가 서울이 지방 중핵(中核) 도시까지 죄다 빨아들이는 ‘서울 블랙홀’로 갈 경우 서울도, 지방도 함께 망한다는 사실을 깊이 유념하는 것이다. 서울 블랙홀 현상은 이미 출현했다. 대표 분야가 의료다. KTX·SRT를 타면 부산·대구·목포·광주에서 서울 대형병원 당일치기 진료가 가능하다. 서울 대형병원은 붐비고 환자 1인당 진료시간은 더 짧아졌다.

인구 순유출 통계를 보면 더욱 분명해진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대 청년층이 60만 명이다. 2013∼2022년 수도권 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를 뺀 20대 순유입 인구는 서울 34만 명을 포함해 모두 59만1000명. 같은 기간 20대를 뺀 나머지 연령대에서 비수도권 순유출은 31만2000명이다. 1.9배다. 순유입 속도도 더 빨라지고 있다.

따라서 결론은 명료하다. 반드시 메가 서울과 지방 메가시티를 함께 성공시켜야 한다. 서울과 지방이 ‘운명공동체’라는 발상의 대전환을 하지 않으면 애초부터 성공하기 어렵다. 지자체장들은 메가 서울로 인해 자신의 권한이 축소될까봐 벌써 두려워하는 것 같다. 하지만 지방 시민의 ‘삶의 권한’이 훨씬 중요하다.

지방 인구가 수도권으로 몰려드는 이유는 4가지다. 교육·산업(일자리)·의료·문화다. 이 4대 과제는 중앙정부·지자체가 운명공동체로 머리를 맞대지 않으면 해결이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 ‘국토 재편’ 그랜드 디자인을 먼저 만들어놓고 메가 서울 프로젝트를 시행해야 성공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자유민주주의도 함께 거듭나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