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서울’ 정책이 거대한 파장으로 이어지고 있다. 김포·구리·하남에 이어 고양시장도 오세훈 서울시장과 만나 통합연구반 구성을 논의했다. 이 정책은 몇몇 지자체의 서울 편입을 넘어 수도권 전체의 재편 논의로 확대되는 추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관련 지자체와 서울시가 참여하는 ‘서울시 편입 통합연구반’을 구성해 연구를 확장해야 한다"고 밝혔다.

메가서울 정책은 수도권뿐만 아니라 전국의 광역권을 메가시티로 묶어 경쟁력을 키우고 국토 전체의 재구성으로 나아간다는 논란을 촉발하고 있다. 이 구상의 영향이 어디까지 뻗쳐나갈 것인지 현재로서는 단언하기 어렵다. 그만큼 어마어마한 폭발성을 감추고 있다. 행정구역 재편과 함께 지방자치의 근간을 뒤흔들 수도 있다.

국민의힘이 논의를 주도하면서 더불어민주당은 뜨악해하는 반응이다. 내년 총선의 정책 주도권을 빼앗겼다는 분노가 느껴진다. 하지만 메가시티 논의는 수도권 집중 이슈를 뛰어넘는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다. 국토 전체를 업그레이드하고 인력과 자본을 효과적으로 집중하고 배분하여 미래를 재설계한다는 차원이다.

일본 경제학자 오마에 겐이치는 1995년 발간한 저서 <국가의 종말>에서 "전통적인 국민국가(nation state)는 끝나고 비즈니스 중심의 지역 국가(regional state)가 등장할 것"이라며 메가시티가 주도하는 세상을 예언한 바 있다.

수도권은 인구 약 2600만 명으로 대한민국 국민 50%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메가시티 관점에서는 미완성이다. 지자체 사이에 의사 결정과 협조 등 유기적인 연계가 이뤄지지 못한 탓이다. 특히 서울 주변에 베드타운만 지어대는 바람에 사실상 메가시티 역할을 못하고 있다. 현대는 도시화의 시대다. 미국·일본·독일·프랑스·중국 등이 모두 메가시티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메가시티 프로젝트는 21세기를 설계한다는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이 옳은 방향이다. 하지만 결코 잊지 말아야 할 게 있다. 만약 내년 총선에서 여당이 패배하면 메가시티 프로젝트도 물 건너간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메가시티와 총선 전략이 톱니바퀴 맞물리듯 잘 돌아가야만 선거에서 이기고, 메가시티 프로젝트도 성공 가능성이 열리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메가시티 프로젝트와 선거 전략의 병합에 전력투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