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천
이주천

9월부터 서울 종로구 헐리우드 극장에서 제주 4·3사건을 다룬 다큐영화 ‘탐라의 봄’이 상영되고 있다. 대중의 관심 속에 10월까지 연장 상영 중이다. 지방 극장에서도 상영 문의가 오고 있단다.

영화는 제주남로당에 의해 피살된 군경 가족들의 진솔한 소회와 4·3사건을 연구한 전문가들 인터뷰 등을 싣고 있다. 사실에 충실하려는 권순도 감독의 의지가 돋보인다. 그러면 왜 하필 이 시기에 감독과 제작진은 ‘탐라의 봄’이란 영화를 만들었을까?

해방 이후 제주도는 오늘날 같은 관광지가 아니었다. 좌익과 제주남로당에 의해, 중앙정부의 간섭에서 벗어나 강력한 공산진지를 구축할 수 있는 천해의 요새로 선택됐다. 일본에 유학간 조선 학생들 중에서 오사카공산당에 가담한 제주도 출신이 많았던 것이 불행의 씨앗이었다.

영화는 제주 4·3사건의 궁극적 책임이 5·10 총선거를 방해한 제주남로당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관객들에게 충격을 준 것은, 반란을 일으킨 남로당 좌익들의 끔찍한 학살방식이었다. 그들은 민간인을 죽창·몽둥이·쇠꼬챙이 등으로 살해했다. 심지어 임신부를 살해, 태아가 뱃속에서 나오는 참극을 목격했다는 생생한 증언도 있었다.

‘탐라의 봄’에서 인터뷰에 응한 전문가들은, 만약 폭동에 대한 조기 진압이 없었더라면 과연 2년 뒤 6·25전쟁을 어떻게 치러낼 수 있었을지 반문하고 있다. 그것은 제2전선의 문제다. 그 당시 제주도에는 군대는 물론이고 경찰 병력이 절대 부족했다. 그래서 충원된 경찰과 서북청년단이 투입되어 간신히 진압했다. 6.25전쟁이 발발했을 때, 전쟁 초기 제주도에서는 북한 인민군 환영대회가 열렸으며 1957년에서야 완전히 진압이 됐다. 무려 9년이 걸린 것이다.

대한민국 건국을 방해하고 공산통일정부의 허황된 꿈을 꾸었던 반란자들, 그들을 힘들게 진압한 공권력 행사를 국가폭력으로 정의내릴 수가 있는가? 당시는 형법체계도 갖추지 못한 건국 초기 시절이었다.

남로당 반란주동자들은 제주도민들을 볼모로 유격전을 시도했다. 정규전이 아니고 피아 식별이 어려웠던 게릴라전 형태를 띤 것이다. 정부는 한 사람이라도 무고한 생명을 구하고자 "산에서 내려오라"고 했다. 그 애끊는 하소연과 소개령을 어기고 하산을 거부한 것도 정부와 군경의 잘못인가?

이 영화는 반란을 진압하느라 자신의 생명을 초개처럼 바친 군인과 경찰의 희생을 외면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김영중 전 제주경찰서장은 "해방 이후부터 6·25전쟁까지 폭동을 진압한 경찰의 희생자가 무려 8000여 명"이라고 진술했다. 서북청년단에 대한 오해도 지적하고 있다. 서북청년단 개입은 1947년 3·1절 기념행사 때 벌어진 불상사로 시작됐다. 이후 서북청년단이 600명 이상 대규모로 제주도에 들어온 것도 4·3사건 발생한 이후였다. 본질적으로 서북청년단이 제주에 들어오기를 원한 것이 아니라, 제주도남로당이 폭동을 일으켜 원인 제공을 한 것이다.

영화에서는 희생자들의 보상에 대해서도 허점투성이임을 언급하고 있다. 희생자는 1000여 명에 불과했는데, 노무현 정부 시절 희생자를 각 지역에 강제 배당 해서 배상자 숫자를 늘렸다는 것이다. 심지어 어린 다섯 쌍둥이의 사망도 4·3사건 희생자로 둔갑되어 배상 리스트에 올랐다는 것이다. 이 영화를 본 국민들은 왜 좌익정부들이 그토록 4·3사건 배상에 열을 올렸는지, 의문을 품어야 한다. 제주도가 ‘좌익의 진지’로 성역화 되는 것이 아닐까?

결론적으로 이 영화는 사법부 판결에서 심각한 좌편향이 발생했음을 경고한다. 제주4·3사건특별법 개정안이, ‘재심을 통해’ 반란자를 국가폭력의 희생자로 둔갑시켜 1인당 9000만 원씩 배상해 주는 정치행위가, 잘못됐음을 말하고 있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