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위한 서시

 

나는 시방 위험(危險)한 짐승이다.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未知)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끝에서
너는 이름도 없이 피었다 진다.

눈시울에 젖어드는 이 무명(無名)의 어둠에
추억(追憶)의 한 접시 불을 밝히고
나는 한밤 내 운다.

나의 울음은 차츰 아닌 밤 돌개바람이 되어
탑(塔)을 흔들다가
돌에까지 스미면 금(金)이 될 것이다.

……얼굴을 가리운 나의 신부(新婦)여.

김춘수(1922~2004)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김춘수 시인의 작품은 사물과 존재에 대한 근원적 탐구이다. 말하자면 관념적이고 철학적이라는 얘긴데, 그렇다고 해서 가독성이 떨어지지 않는다. ‘꽃’도 그러하지만 ‘꽃을 위한 서시’는 한국현대시사에서 반드시 언급되는 역작 중 한 편이다.

‘나는 시방 위험(危險)한 짐승이다.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未知)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라는 표현은 사물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나는 사람이긴 하지만, 그것을 알지 못하는 한 짐승 같은 존재와 다를 바 없다. 어느 날 발심을 내어 그것을 알려고 했을 때 ‘너는 미지(未知)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는 말은 그걸 알려고 하면 할수록 더욱 더 알 수 없게 되어버린다는 뜻이다. 그리하여 너는 여전히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끝에서 너는 이름도 없이 피었다 진다.’

즉 화자의 무지로 의미를 알지 못한 채 ‘너’는 무의미하게 존재했다가 사라져 버린다. ‘눈시울에 젖어드는 이 무명(無名)의 어둠에 추억(追憶)의 한 접시 불을 밝히고 나는 한밤 내 운다.’ 나는 존재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지식과 경험을 총동원한다. 그런 나의 노력은 ‘차츰 아닌 밤 돌개바람이 되어 탑(塔)을 흔들다가 돌에까지 스미면 금(金)이 될 것이다.’ 나의 노력은 헛되지 않아 탑의 돌에 스며들어 금이 될 것인 바, 그렇듯 언젠가는 사물의 본질을 깨닫게 될 것이다. 하지만 끝내 ‘얼굴을 가리운 나의 신부(新婦)’처럼 ‘너’는 실체를 드러내지 않는다.

김춘수 시인은 ‘꽃의 시인’이라 불릴 만큼 ‘꽃’은 그에게 있어서 중요한 소재이며 이미지였다. 시인의 시론 중 이런 구절이 있다. "시란 언어가 만드는 환상적 세계이고, 어느 쪽으로 도달하려는 목적을 가지지 않는다." 김춘수 시인은 언어로 뜻을 전달한 게 아니라 예술행위를 하였다.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