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늦었지만 크게 환영할 일이다. 정부가 7월 14일을 국가기념일 ‘북한이탈주민(탈북민)의 날’로 제정한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21일 국민통합위원회 ‘북배경 주민과의 동행 특별위원회’ 출범식에서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북한이탈주민법)이 시행된 7월 14일을 탈북민의 날로 제정한다고 밝혔다. 북한이탈주민법은 1996년 12월 국회를 통과해 1997년 7월 14일부터 시행됐다. 정부는 대통령령인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해 오는 7월 14일 제1회 기념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탈북민의 날 국가기념일 지정은 윤석열 대통령의 관심에서 출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16일 국무회의에서 "탈북민 정착에 지원과 관심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탈북민의 날 제정 추진을 지시했다. 탈북민의 날 제정은 사회통합과 ‘자유민주주의 기본질서에 입각한 평화통일’이라는 헌법 정신에 정확히 부합한다. 그동안 여러 탈북 단체 등과 논의를 거쳐 확정했다.

1948년 분단 후 북에서 남으로 온 사람들은 시기별로 명칭이 다르다. 실향민·월남민·귀순용사를 거쳐 1990년대 중반 식량난과 대량아사 사태 당시 연(延) 100만 명이 중국으로 쏟아져 나오던 시기에 ‘탈북자’라는 용어가 쓰이기 시작했다. 한국 입국 탈북자 수도 해마다 늘었다. 2002년부터 매년 1000명을 넘기 시작해 2009년 2914명으로 최고점을 찍었다.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단속이 강화되자 1000명대로 떨어졌다. 2019년~2023년 코로나 기간엔 두 자릿수로 줄었다. 작년 말 현재 누적 탈북자는 3만4078명이다. 이중 72%가 여성, 70%가 함경도·양강도 출신이다. 김일성·김정일 치하 오랫동안 계급독재로 피해를 본 지역이다. 이들이 북한 땅을 탈출한 동기는 당장의 굶주림이기도 하지만 근본 이유는 자유를 찾기 위해서다. 모든 탈북민이 한국이 좋은 이유를 들라면 ‘자유’를 든다.

한편, 21일 국민의힘 사회통합위원회에서 탈북민에 대해 ‘북배경 주민’이라는 용어를 쓴 모양인데, 탈북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법적 행정적로는 ‘북한이탈주민’이 정확하고, 언론 등에서 일반 용어로 쓸 때는 ‘탈북민’ 또는 ‘자유탈북민’이 좋다. 대다수 탈북민이 원하는 용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